![]() |
△ 소녀상 이전 놓고 양국 온도차 |
[부자동네타임즈 이영진 기자]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등 6개 단체는 28일 한일 외교장관 회담 합의에 대해 "진정성이 담긴 사죄라고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공식 입장을 내놨다.
정대협, 나눔의집, 남해여성회, 정신대할머니와함께하는시민모임, 일본군위안부할머니와함께하는마창진시민모임, 일본군위안부할머니와함께하는통영거제시민모임 등 6개 단체는 이날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이들 단체는 이날 공식입장을 통해 "일본 정부가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혔지만 일본군 위안부 범죄가 일본 정부 및 군에 의해 조직적으로 자행된 범죄라는 점은 이번 합의에서 찾아보기 어렵다"며 "일본 정부가 범죄 주체라는 사실과 위안부 범죄의 불법성을 명확하게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아베 총리가 일본 정부를 대표해 내각총리로서 직접 사과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독사과에 그쳤고 사과의 대상도 너무나 모호해서 진정성이 담긴 사죄라고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또 한국 정부가 위안부 지원 재단을 설립하고 일본 정부가 이에 10억엔을 출연하기로 했다는 보도에도 반발했다.
이들 단체는 "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범죄의 가해자로서 범죄에 대한 인정, 배상 등 후속조치 사업을 적극적으로 이행해야 함에도 재단을 설립함으로써 그 의무를 피해국 정부에 떠넘기고 손을 떼겠다는 의도가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어 "또 이번 합의는 일본 내에서 해야 할 일본군 위안부 범죄에 대한 진상규명, 역사교육 등 재발방지 조치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고 반발했다.
한국 정부에 대한 날선 비판도 이어졌다.
이들은 "한국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협의에 임하면서 평화비 철거라는 어이없는 조건을 내걸어 진정성을 의심케한 일본 정부의 요구를 결국 받아들였다"고 주장했다.
이어 "평화비(위안부 소녀상)는 그 어떤 합의의 조건이나 수단이 될 수 없음을 분명히 한다"며 "평화비는 피해자들과 시민사회가 천 번이 넘는 수요일을 지켜내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외쳐온 역사의 상징물"이라고 말했다.
또 "오늘 한일 양국 정부가 들고 나온 합의는 국민들의 바람을 철저히 배신한 외교적 담합"이라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과 함께 국내외 시민사회와 함께 올바른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더욱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한일 외교장관이 회담을 열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극적으로 타결지은 2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 세워진 소녀상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2015.12.28 김흥구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