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후 70년 담화 발표 회견하는 아베 |
아베 "침략의 정의는 역사가에 맡겨야" 소신 재확인
담화 논조 차분했지만 '침략'·'사죄' 꺼리는 입장 '불변'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14일 오후 6시 도쿄 지요다(千代田)구 총리 관저 기자회견장을 꽉 채운 내외신 기자 200여명 앞에서 차분한 어조로 전후 70년 담화를 읽어 내려갔다.
집단 자위권 법안 등 안보 문제와 관련한 회견때마다 강한 톤으로 발언하던 것에 비해 이날은 '템포'와 '옥타브'를 모두 낮췄다.
다만 아베 총리는 일본의 행위를 침략으로 인정할지 여부 등에 대한 자신의 소신에 대해서는 단호했다.
아베 총리는 담화 낭독 후의 회견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행위가 침략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역사가의 논의에 맡겨야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담화에 '침략'을 거론하면서도 '일본이 행한 침략'으로 명시하지 않은데 대한 질문에 '일본의 행위가 침략이었다'는데 동의할 수 없다는 인식을 표명한 것이다. 결국 "침략의 정의는 정해져 있지 않다"는 자신의 2013년 4월 국회 발언을 재확인한 셈이었다.
특히 지난 6일 아베담화 자문기구인 '21세기 구상 간담회'가 아베 총리에게 제출한 보고서에서일본의 만주사변 등을 '침략'으로 명기했음에도 그 견해 보다는 자신의 소신에 무게를 실은 것이기도 했다.
'사죄' 표현도 마찬가지였다. 기자회견에서 과거 담화가 '사죄'를 거론했음을 소개하고 그 마음을 이어왔으며, 앞으로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지만 자신의 입으로 '사죄'는 거론하지 않았다.
현장의 기자들이 주목한 이날 담화의 하이라이트는 "우리들의 아이와 손자, 그 뒤 세대의 아이들에게 사죄를 계속할 숙명을 지워선 안 된다"는 내용이었다. 관련 질문이 나오자 아베 총리는 담화 내용을 재차 거론한 뒤 "(사죄는) 현재를 사는 우리 세대의 책임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순간 현장의 기자들은 고개를 '갸우뚱' 할 수 밖에 없었다. 사죄는 "우리 세대의 책임"이라면도 이날 담화는 과거의 사죄를 인용하는 식에 그쳤기 때문이다. 현재 일본을 이끄는 자신의 사죄는 생략한 채 과거에 사죄를 충분히 했으니 미래 세대는 '사죄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야기로 해석될 수 있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