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화학제품에 해외수입규제 71% 몰렸다
(서울=연합뉴스) 김영현 기자 = 우리나라 수출품 가운데 철강과 화학 분야에 수입규제가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코트라(KOTRA)는 12일 '2015년 상반기 대한(對韓) 수입규제 동향과 향후 전망' 보고서를 통해 "수출 감소로 고전하는 우리나라 철강 및 화학제품이 해외에서의 수입규제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밝혔다.
코트라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한국 상품을 대상으로 한 수입규제는 모두 157건이다.
이 가운데 철강과 화학제품이 각각 61건과 50건이나 된다. 전체 수입규제 품목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은 71.0%다.
철강과 화학제품에 이어 섬유(12건), 전기전자(8건) 순으로 규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철강과 화학제품은 올 상반기 신규 제소 11건 가운데 각각 5건과 4건을 차지했다. 이들 품목에 대한 수입규제가 심화하는 상황이다.
규제 형태별로 살펴보면 반덤핑이 104건으로 전체 66.2%를 차지했으며 세이프가드(48건)가 뒤를 이었다.
인도가 우리 상품에 가장 많은 28건의 수입규제를 했다. 미국(15건), 터키(15건), 호주(12건), 브라질(11건), 중국(10건) 등의 수입규제도 많았다.
장수영 코트라 통상전략팀장은 "세계적으로 공급 과잉인 상태인데다 수출국간 가격 경쟁이 심해 철강과 화학제품에 수입규제가 집중되고 있다"며 "당분간 관련 업계의 주의가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