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차 과적시 제동거리 노면따라 최고 36% 늘어난다
(세종=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 화물차에 과적하면 제동거리가 노면 상태에 따라 35% 안팎 급증하는 것이 실험으로 확인됐다.
교통안전공단은 9.5t 화물차에 18.5t의 짐을 싣고 시속 60㎞ 상태로 마른노면에서 실험한 결과 9.5t을 실었을 때와 비교해 제동거리가 36.6% 증가했고 젖은 노면에서는 34.8% 늘었다고 12일 밝혔다.
마른노면에서 9.5t의 짐을 실었을 때는 제동거리가 33.9m, 18.5t을 실었을 때는 46.3m로 나타났다.
젖은노면에서 9.5t의 짐을 실었을 때는 제동거리가 42.3m, 18.5t을 실었을 때는 57m로 나타났다.
과적을 하면 화물차 제동거리 안전기준인 36.7m를 넘어선다는 것이다.
화물차는 교통사고 치사율도 전체 교통사고 대비 78%나 높다.
교통사고 100건 당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치사율을 보면 지난해 전체 치사율은 2.13명이었지만 화물차는 3.80명을 기록했다.
작년 기준 화물차는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 2천11만여대 가운데 335만3천여대로 16.7%에 불과하지만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전체 4천762명 가운데 1천73명으로 22.5%를 차지한다.
화물차는 또 적재불량으로 고속도로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지적됐다.
최근 5년간 고속도로 교통사고 중 낙하물로 인한 사고는 204건이며 총 1명이 사망하고 72명이 부상했다.
교통안전공단은 "화물차 운전자는 과적운행을 자제하고 화물을 단단히 고정하고나서 운행하는 등 안전운행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