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수 사태 진행형인데' 청주시의회 해외연수 적절성 논란
내달 가동 약속했던 사고조사특위도 어물쩍 '없던 일' 될 듯
(청주=연합뉴스) 박재천 기자 = 청주시의회 상당수 상임위원회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으로 미뤘던 해외연수를 이달 중 가기로 했으나 시기적으로 적절한지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최근 폭염 속에 빚어졌던 나흘간의 수돗물 공급 중단 사태와 관련 원인 규명이나 피해 보상 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주민의 대표인 시의회가 이를 외면하고 특혜를 누리는데만 골몰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다.
10일 시의회에 따르면 복지교육위원회는 다음 달 1일 귀국 일정으로 오는 27일 캄보디아·베트남 해외연수길에 오른다.
재정경제위원회외 행정문화위원회는 오는 21일부터 8일간의 일정으로 호주와 뉴질랜드를 다녀온다.
농업정책위원회도 이달 중 해외연수에 나서기로 하고 오는 17일 회의를 열어 방문지와 일정을 정한다.
지방의회 해외연수는 제도적으로 연 1회 보장된다.
청주시의회의 경우 도시건설위원회만 상반기에 해외연수를 마쳤다. 나머지 상임위는 청주시 새 상징마크(CI) 갈등과 메르스 여파로 예정된 해외연수를 취소, 여행사에 위약금까지 물었다.
CI와 메르스 문제로 미뤘던 해외연수를 가겠다는 것을 문제 삼기는 어렵다.
각 상임위는 다음 달과 10월에 임시회가 예정돼 있고, 11∼12월에는 행정사무감사와 내년도 예산안 심사로 바빠 회기가 없는 8월을 해외연수 재추진의 적기로 본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나흘간의 단수 피해를 본 13개동 주민들은 곱지 않은 시선으로 시의회를 바라보고 있다.
사고 원인 규명 등 단수사태가 완전히 매듭지어지지 않았는데도 주민들의 피해를 보듬고 이들의 목소리를 대변해 집행부를 감시·비판해야 할 시의회가 서둘러 해외연수 길에 오르는 것이 과연 온당하냐는 지적이다.
김병국 시의장은 단수 사태 사흘째인 지난 3일 기자실을 방문, "9월 회기 때 단수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 운영할 것"이라고 강한 의지를 보인 바 있다.
그러나 김 의장을 포함한 시의원들은 여야 가릴 것 없이 10일 기자회견에서 특위 구성 관련해 어물쩍 발을 빼는 모습을 보였다.
시의회는 "집행부가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 가동할 사고 원인 조사위원회가 철저히 조사해 대책을 제시하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사 결과 미흡한 점이 나타나면 철저한 보완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밝히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도록 촉구할 것"이라며 어물쩍 특위 가동 계획을 사실상 접었음을 내비쳤다.
단수 피해 지역의 한 주민은 "집행부가 피해 배상 계획을 밝히고 사고원인을 조사한다고 해서 집행부를 감시하고 대형사고의 과실을 들춰내야 할 의회가 손을 놓는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문제"라고 질타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