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비축 절실한데 송도 LNG기지 증설 '제자리'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8-10 08:30:25
  • -
  • +
  • 인쇄
"재고보유일 22일…수요증가 대비해야" vs "위험시설 증설 절대 불가"
"정부·인천시, LNG증설 둘러싼 갈등 해결 나서야"


에너지 비축 절실한데 송도 LNG기지 증설 '제자리'

"재고보유일 22일…수요증가 대비해야" vs "위험시설 증설 절대 불가"

"정부·인천시, LNG증설 둘러싼 갈등 해결 나서야"







(인천=연합뉴스) 윤태현 기자 = 인천 송도 액화천연가스(LNG)기지 증설 사업이 송도 주민들의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와 수도권 에너지 위기 사이에서 제자리걸음하고 있다.

한국가스공사는 수도권 도시가스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송도 LNG 기지 내 탱크를 증설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기지 내 20만㎘ LNG 탱크 20기 외에 같은 용량의 탱크 3기(21∼23호)를 추가로 건설하는 게 골자다.

애초 이달 착공해 2019년 10월께 완공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지만, 주민들의 반대와 관련시설 건축허가 지연으로 진척이 없는 상태다.

◇ 주민들 "폭발 위험 시설은 안 된다" LNG기지 증설에우려 = LNG(Liquefied Natural Gas)는 해석 그대로 천연가스를 액화시킨 것이다.

고압(7∼10기압)을 가해 액화시키는 LPG(Liquefied Petroleum Gas)와 다르게 영하 162℃로 냉각하면 자연스레 액화된다. 부피가 600분의 1로 줄어들어 운반과 측량이 쉽다.

보관은 LPG 등을 보관하는 고압용기가 아닌 대기압과 비슷한 압력의 용기에 한다. 이런 까닭에 사고가 발생하면 불은 붙지만 폭발은 일어나지 않는다.

한국가스공사는 LNG기지가 인천 송도로부터 3㎞가량 떨어진 인공섬에 있어 사고 영향권 밖인데다 화재 등 사고에 대비한 안전·소화설비를 갖춰 안전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주민들은 안전사고와 유사시 북한의 도발 등으로 말미암은 폭발 우려를 제기하며 기지 증설에 반대하고 있다.

송도 주민 김모씨는 "일본 원전도 안전하다고 했지만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했다"며 "한국가스공사는 안전하다고 하지만 주민 입장에서 LNG탱크가 증설되는 것은 결국 위험요인이 더 늘어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 다가오는 '에너지 위기'…LNG탱크 증설은 선택 아닌 필수 = 인천 송도 LNG기지 증설 사업은 2013년 산업통상자원부의 '제11차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에 따라 추진됐다.

이 계획에 따르면 송도 LNG기지의 천연가스 겨울철 재고 보유일은 22일이다. 외부로부터 운반되는 LNG 없이도 22일간 사용할 수 있는 가스를 비축했다는 의미다.

이는 천연가스 40일 사용량을 비축한 미국과 38∼39일 사용량을 비축한 유럽 국가들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28일 사용량을 비축한 평택 LNG기지와 34일 사용량을 비축한 통영 LNG 기지 등 국내 기지보다도 적다.

인천 등 수도권에서 도시가스 수요가 증가하는 점을 고려하면 LNG탱크 증설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공사는 LNG탱크 증설이 완료되면 보유일이 5일가량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송도 LNG기지 관계자는 10일 "겨울철 도시가스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수도권에 LNG 발전소까지 신설돼 LNG 수요는 갈수록 증가하는 상황"이라며 "오일쇼크 등 외부요인으로 말미암은 에너지 위기를 겪지 않으려면 에너지 비축은 선택이 아닌 필수조건"이라고 말했다.

◇ LNG탱크 증설은 수도권 공동의 문제…"정부·인천시 나서야" = 한국가스공사는 LNG 탱크 증설 사업의 필요성을 전하고자 3차례에 걸쳐 주민설명회를 열려고 했지만 주민들의 반발로 모두 무산됐다.

사업과 관련된 시설 건축 허가도 승인이 지연되고 있다.

담당 지방자치단체인 연수구는 서류 미비 등을 이유로 한국가스공사 측에 서류 보완을 요구한 상태다.

일각에서는 LNG 탱크 증설 사업이 정치논리에 휘말려 내년까지 미뤄질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현재 LNG탱크를 증설할 수 있는 부지는 국내에서 송도가 유일하다.

한국가스공사 관계자는 "사업을 설득하기 위한 자체적인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수도권의 에너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사업인 만큼 정부와 인천시 등이 중립의 위치에서 갈등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의지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