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리, 시리아 화학무기 조사 결의안 만장일치 채택(종합)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8-08 01:57:22
  • -
  • +
  • 인쇄
유엔-OPCW 공동조사단 구성…화학무기 사용 가해자 규명이 핵심


안보리, 시리아 화학무기 조사 결의안 만장일치 채택(종합)

유엔-OPCW 공동조사단 구성…화학무기 사용 가해자 규명이 핵심



(유엔본부=연합뉴스) 김화영 특파원 = 시리아 내전에서 화학무기 사용의 책임 소재를 가리기 위한 결의안이 7일(현지시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됐다.

시리아 내전은 2011년 3월 시작됐으며, 지난 2년 동안 치명적 화학무기로 민간인 사상자가 늘고 있다는 의혹이 거듭 제기됐다.







이날 결의안은 그동안 대립된 입장을 보이던 미국과 러시아가 최근 시리아의 화학무기 사용을 끝내야 한다는 데 합의함에 따라 통과됐다.

러시아는 그동안 시리아의 바샤드 알 아사드 정권의 배후라는 의심을 받았다.

이 결의안은 화학무기 사용 의혹에 대한 사실 관계를 조사하고 가해자를 가리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결의안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화학무기금지기구(OPCW)가 앞으로 20일 안으로 공동 조사단 설립에 관한 권고안을 안보리에 제출토록 했다.

안보리는 이후 5일 안에 권고안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유엔-OPCW 공동 조사단이 가동되면 시리아 화학무기 사용을 계획하고, 지원하고, 직접 사용에 관여하거나 도운 개인과 단체, 정부가 누구인지를 가리는 조사를 벌이게 된다.

반 사무총장은 안보리에 매월 한 차례 조사 내용을 보고하며, 첫 조사 보고서는 활동 후 90일 안에 나오도록 돼 있다.







2013년 8월 21일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 외곽에서 화학무기 공격으로 수백 명의 민간인이 살상됐다는 보고가 나온 후 시리아에서는 화학무기 사용 의혹이 끊이지 않았다.

OPCW는 지난해 4월부터 시리아 북부 마을 세 곳에서 주민과 의사들의 증언과 현장 사진, 동영상 등을 토대로 유독성 화학물질인 염소가스 공격이 있었던 것으로 지난 1월 보고했다.

시리아 정부군의 소행으로 추정됐지만 보고서는 당시 가해자를 언급하지 않았고, 시리아 정부도 의혹을 계속 부인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