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 발령(종합)
(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 =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가 내려졌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달 28일 부산지역에서 채집한 모기 가운데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의 80% 이상으로 조사됨에 따라 6일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한다고 밝혔다.
작은빨간집모기는 일본뇌염의 매개모기다. 질병관리본부는 전국 30개 지역에서 주 2회 모기를 채집해 일본뇌염 매개모기의 밀도가 50% 이상이면서 500마리 이상인 경우가 나오거나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하면 등에 일본뇌염 경보를 전국에 발령한다.
질병관리본부는 부산 이외 29개 조사 지역에서는 일본뇌염 매개모기의 밀도가 50% 미만이라고 설명했다.
질병관리본부는 해마다 처음 일본뇌염 매개모기를 발견하면 주의보를 발령한다. 올해는 4월 8일 광주에서 처음으로 작은빨간집모기를 발견해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다.
모든 작은빨간집모기가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것은 아니다.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린 사람 중에서도 95%는 증상이 없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뇌염으로 진행해 고열, 두통, 복통 및 경련을 일으킨다. 심하면 혼수상태에 빠지거나 의식 장애가 나타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2005년 이후 국내에서는 일본뇌염 환자가 총 114명 발생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2010년(26명) 이후 가장 많은 26명이 일본 뇌염으로 진단받았다.
일본뇌염 감염을 예방하려면 모기 활동이 활발한 8~10월 하순까지 가정에서는 방충망을 사용해야 한다.
야간에는 모기가 많은 지역에서 야외 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불가피하게 바깥에서 활동할 때는 소매가 긴 옷과 긴 바지를 입고,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는 등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생후 12개월~만 12세까지는 보건소와 전국 7천여 개 지정의료기관에서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무료로 맞을 수 있다.
성인은 일본뇌염 예방접종 권장 대상이 아니지만, 돼지 축사 근처 등 작은빨간집모기가 많은 지역에 살거나 일본뇌염 유행국가(방글라데시, 캄보디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등)에 여행할 계획이 있을 때는 유료로 접종하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