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친 김에 중동 갈등 중재까지?' 이란 핵타결 후 행보 관심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8-06 18:06:37
  • -
  • +
  • 인쇄


'내친 김에 중동 갈등 중재까지?' 이란 핵타결 후 행보 관심



(두바이=연합뉴스) 강훈상 특파원 = 이란 핵협상이 지난달 14일(현지시간) 타결되자 국제사회의 시선은 중동 정세에 미칠 파급 효과로 옮겨졌다.

현재 중동은 지리적으로는 걸프 해역을 사이에 두고 동서로, 종파적으로는 수니파와 시아파로 나뉘어 어느 때보다 갈등이 첨예하다.

걸프해역의 서쪽엔 사우디아라비아를 주축으로 한 수니파 세력이 몰렸고 동쪽엔 이란을 맹주로 한 이른바 '시아파 벨트'가 견고하다.

양대 세력이 충돌하는 최전선이 예멘과 시리아다.

예멘에선 사우디가 지원하는 친정부 측과 이란에 우호적인 시아파 반군이 5개월째 내전을 벌이고 있다. 시리아에선 반대로 이란이 뒷받침하는 시아파 정권과 사우디가 지지하는 수니파 반군이 4년 넘게 유혈충돌 중이다.

예멘과 시리아 사태가 해법을 찾지 못하고 늪에 빠져들수록 이란 핵협상에 대한 기대는 높아져 갔다.

이란 핵협상 타결이 사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정치적 계기나 명분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멘과 시리아 사태 모두 이란이 주요 '플레이어'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란은 핵협상 시한이 다가올수록 타결과 연관지어 중동에서 자신의 '역할론'을 시사했고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도 3월 핵협상 결과가 다른 문제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핵협상이 타결된 뒤 이란이 아직 적극적으로 중재자를 자처하지는 않지만 이전과는 다른 움직임이 포착된다.

이란이 핵협상 타결 뒤 '이웃 국가와의 원만한 관계'를 외교 정책의 최우선 방향으로 선언한 것도 변화의 조짐으로 해석된다.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3일 레바논 일간지 아사피르에 기고한 글에서 "예멘 사태에 대한 협력은 중동의 현안을 논의하는 좋은 출발이 될 수 있다"며 "모든 이슬람 국가가 유엔의 지휘 아래 예멘과 시리아 문제를 끝내는 데 관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핵협상 이전 이란은 예멘 사태에 대해 사우디의 공습을 일방적으로 비판하면서 '정치적 해결'을 해야 한다는 추상적인 입장을 유지해왔다.

예멘의 한 외교소식통은 "시아파 반군이 이란의 뜻에 얼마나 따를 지 미지수지만 이란이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친이란 예멘 시아파 반군이 최근 걸프 지상군과 공습을 등에 업은 친정부 민병대의 반격에 밀리고 있는 전황도 이란이 고려해야 할 점이다. 이란이 출구전략을 가동해야 할 시점이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시리아 문제를 놓고 소원했던 터키와도 거리를 좁히고 있다.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5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과 전화통화에서 "테러리즘을 뿌리 뽑기 위해 협력하고 실질적 해법을 도출하자"며 군사작전 공조를 제안했다.

이란 정부는 또 유엔에 시리아 사태를 끝내기 위한 안을 조만간 유엔에 내겠다고 5일 밝혔다.

이란은 지난해 3월 즉각적 휴전, 통합 정부 구성, 소수민족·종파 보호, 유엔 감시하 총선 등을 골자로 하는 시리아 해결안을 제시했다.

호세인 아미르 압돌라히안 이란 외무차관은 이와 관련 "시리아 정부와 정밀하게 논의한 뒤 유엔 사무총장에게 이를 제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리아 사태 해결은 '이슬람국가'(IS) 대응의 선행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란과 사우디 모두 중앙정부를 지원하는 이라크와 달리 IS의 본거지인 시리아는 양측이 이해관계가 정반대이기 때문이다. 시리아의 대치 상황을 풀어야 공동의 적인 IS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뜻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