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들 "무사안일 행정이 최악의 단수사태 불러" 십자포화
![]() |
△ 단수사고 현장. |
'단수 대란' 서둘러 덮으려는 청주시, 맹공 펴는 시민단체(종합)
전명우 상수도본부장 자진사퇴…청주시, 위기관리 강화대책 발표
시민단체들 "무사안일 행정이 최악의 단수사태 불러" 십자포화
(청주=연합뉴스) 박재천 기자 = 청주시가 주민들의 쏟아지는 비난 속에서 '수돗물 단수 대란' 국면을 서둘러 전환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그러나 시민단체들은 '책임론'을 거론하며 시를 향해 맹공을 퍼부으면서 계속 쟁점화할 태세다.
청주시의 조기 사태 진화를 위해 전명우 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이 총대를 멨다.
전명우 본부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자청 "시민에게 불편을 끼친 것을 다시 한 번 사과하고, 그런 점에서 책임을 지고 퇴직하기로 했다"며 "내일 사직원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전 본부장은 지난 1일부터 4일간 13개동의 단수사태를 부른 통합정수장·지북정수장 도수관로 연결 공사의 총책임자다.
피해 주민들의 분노를 조금이나마 가라앉히기 위해 서둘러 사퇴 의사를 밝힌 것으로 보인다. 부하 직원들 보호 차원의 용퇴라는해석도 있다.
사고 원인이 규명되기 전에 사퇴하는 것은 무책임하다는 지적도 있지만 전 본부장은 "제3자가 진상을 규명하는 것이 맞다고 판단했다"며 고개를 떨궜다.
이승훈 시장이 국면 전환을 위해 전 본부장의 사퇴를 종용했다는 말도 나온다.
전 본부장은 그러나 회견장에서 "스스로 내린 결정이다. 이 시장도 정치적 타격을 입었을 것"이라며 예기치 않은 '대형 악재'로 코너에 몰린 이 시장을 감쌌다.
시는 이번 공사를 발주한 상수도사업본부 시설과의 유모 과장을 이날 구청 과장으로 문책 인사했다. 구청에 있던 장모 과장이 유과장 자리로 옮기는 맞교환 인사로, 이번 사고 책임을 물었다는 평가다.
시는 재난 위기관리 대응 강화 방안도 내놨다.
우선 5명의 전문가로 사고원인조사위원회를 구성, 사고 원인을 밝히기로 했다. 현장 경험이 풍부한 퇴직공무원들로 상수도 공사 추진 자문위원회도 구성, 사업 계획 수립 단계부터 공사 완료 시까지 자문위의 도움을 받기로 했다.
또 부서별 안전관리 매뉴얼을 재정비, 비상상황 발생 시 능동적으로 대처하기로 했다.
고지대 주민 불편 해소를 위해 배수지 가압장치를 설치하고, 노후 상수도관도 지속해서 교체할 계획이다.
난국을 조기에 봉합하려는 청주시의 일련의 조치에도 불구, 시민단체들의 비판 목소리는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오히려 시간이 흐를수록 한 목소리를 청주시의 과실을 질타하면서 공고하게 연대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는 성명을 내 "청주시의 무사안일한 행정이 사흘을 넘기는 최악의 단수 사태를 불렀다"며 "이번 사태의 원인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처벌하라"고 요구했다.
이 단체는 이어 "사전 공지가 없어 주민들은 미리 대비할 수 없었고, 급수차를 준비시키는 등의 후속 대책도 전혀 없어 화를 키웠다"고 지적한 뒤 청주시의회도 신속하게 조사특별위원회를 꾸려 진상을 규명에 앞장설 것을 촉구했다.
충북청주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도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단수 사태에서 주민들은 수돗물 공급이 끊긴 사실보다 청주시 공무원들의 안이하고 무책임한 대처에 분노했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이 피해 지역 주민에게 재차 사과하라고도 했다.
충북경실련은 오는 11일 피해 지역 상인 대표와 주민 등이 참여한 가운데 대책회의를 열어 피해 현황 및 향후 대책 등을 논의한다.
이 자리에서 시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하는 방안도 논의될 것으로 보여 향후 행보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