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적대는 미 공화 TV토론…'SNS광고로 활로 뚫어라'
(서울=연합뉴스) 강건택 기자 = 내년 미국 대통령선거에 도전하는 공화당 후보들이 첫 TV 토론회를 맞아 'SNS(사회관계망서비스) 광고'에 사활을 걸고 있다.
17명의 후보자 중 지지율 상위 10명에게만 출연을 허락했음에도 여전히 숫자가 많은 탓에 후보 한 명, 한 명의 메시지를 충분히 전달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따라서 후보들은 토론회 시간에 맞춰 자신의 메시지를 더 자세히 전달하고 다른 후보의 실수를 부각시킬 수 있는 내용의 소셜미디어 광고를 일제히 띄울 계획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랜드 폴(켄터키) 상원의원 선거캠프에서 디지털 책임자로 일하는 빈센트 해리스는 "토론회 내내 우리의 (소셜미디어) 광고를 볼 수 있을 것"이라며 같은 시간대에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에 선거 광고를 넣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런 광고들은 메시지를 형성하고 후보 캠프에서 대중이 계속 언급해주기를 바라는 이슈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끌어내는데 효과적일 것"이라고 자신했다.
SNS 광고는 각 후보 캠프가 타깃으로 삼은 특정 계층을 콕 집어 전파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불법이민 문제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있는 입장을 가진 후보가 있다고 가정하면, 경쟁 후보가 히스패닉계 페이스북 또는 트위터 사용자를 대상으로 이 문제를 알리는 타깃 광고를 배포할 수 있다.
폭스뉴스가 주최하는 이번 TV 토론회는 페이스북이 공동 주최자로 나서 정치인들의 소셜미디어 광고 붐을 더욱 부추긴다.
페이스북은 후보와 이용자 간 질의응답 도구, 후보와 지지자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인스턴트 비디오 기능 등을 새로 개발해 첨단 선거운동을 돕고 있다.
특히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나이, 성(性), 주소 등의 인구통계학적 정보에 기반해 각 후보가 광고 대상을 고르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페이스북은 후보 캠프가 제시한 유권자 정보에 부합하는 이용자들의 계정을 제공키로 했다.
트위터는 공화당 대선후보 토론회가 열리는 6일 저녁 시간대에 2만5천∼5만 달러를 받고 정치광고를 내주기로 했고, 구글은 토론회에서 답변 시간이 충분치 않다는 점을 겨냥해 후보들이 각자 원하는 만큼 길게 답변하는 영상을 만들어 유튜브에 올릴 것을 제안했다.
또 폭스뉴스 토론회 참석하지 못하고 사실상 컷오프된 하위 7명의 후보들도 TV 토론회와 비슷한 시간대에 각자 소셜미디어를 활용해 존재감 알리기에 안간힘을 쓸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