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중국해 갈등' 미·중도 활발한 양자접촉
![]() |
△ 한-러시아 대화 (쿠알라룸푸르=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5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푸트라세계무역센터(PWTC)에서 열린 한-러시아 외교장관회담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대화하고 있다. |
윤병세·리수용, ARF서 중러 놓고 '맞불 외교전'
한중·한러 vs 북러…북중도 만날 가능성
'남중국해 갈등' 미·중도 활발한 양자접촉
(쿠알라룸푸르=연합뉴스) 이귀원 기자 =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 등 아세안(ASEAN) 관련 회의 참석차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를 방문중인 남북 외교장관은 5일 각각 중국 러시아 등을 상대로 치열한 외교전을 벌였다.
이번 회의에서의 핫이슈 가운데 하나인 북핵 문제를 매개로 우리 정부는 중국과 러시아를 상대로 적극적인 외교전을 벌였고, 북측은 전통우방인 러시아와 동남아 국가들을 상대로 맞불을 놓는 모양새를 보였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이날 아세안 관련 회의가 열리고 있는 쿠알라룸푸르 시내 푸트라세계무역센터(PWTC)에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과 잇따라 양자협의를 개최했다.
윤 장관은 한중, 한러 접촉에서 이란 핵협상 타결을 계기로 북핵 문제의 모멘텀 마련과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등 전략적 도발을 막기 위한 중국, 러시아측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왕이 외교부장과 라브로프 외무장관은 이란 핵협상 타결 과정에 직접 참여한 당사자라는 점에서 이날 한중, 한러의 만남은 북핵 문제와 관련해 주목을 받았다.
한러간 접촉은 특히 북러 협의 직후에 열려 관심을 끌었다.
윤 장관은 라브로프 외무장관과의 회담 모두발언에서 "이란 핵협상을 타결한 것을 축하한다"고 말했다. 이란 핵협상 타결을 언급함으로써 북핵 모멘텀을 마련하기 위한 러시아 측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한 것으로 풀이된다.
윤 장관은 이날 한중, 한러 외에도 한·인도네시아 외교장관회담, 한·아세안 외교장관회의, 한·EU(유럽연합) 외교장관회의,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등 잇따라 가졌다.
특히 윤 장관은 한·아세안 외교장관회의에서 북한의 추가도발 억제와 비핵화 대화 재개 필요성 등을 강조했고 상당수 아세안 국가들이 공감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국가는 북한의 유엔 안보리 결의와 9·19 공동성명 준수, 북핵의 'CVID'(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까지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수용 북한 외무상도 이날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만났다. 북측은 북핵 문제와 관련해 대화가 열리지 않고 있는 것은 미국의 적대시적챙 탓이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하며 지지를 당부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러시아 타스 통신은 라브로프 외무장관이 북러 접촉에서 "러시아는 모든 당사자가 받아들일 수 있는 합의를 통해 한반도의 비핵지위를 보장하는 것을 지지한다"면서 "우리는 역내 모든 국가, 물론 북한의 안보가 충분히 보장되는 것을 원하며 북한의 정당한 이해가 예외없이 모두로부터 존중받아야 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러시아가 한반도의 비핵화를 강조하면서도 북측의 입장을 옹호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북한은 ARF 회원국인 파키스탄과도 양자접촉을 가졌으며, 미얀마, 라오스와도 양자협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중 양자협의 소식은 전해지지는 않고 있지만 북측은 이번에 중국측과도 만나 북핵협상이 열리지 않고 있는 것은 미국의 적대시정책이라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할 것으로 관측된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도 이날 중국, 러시아와 양자접촉을 가졌으며, 북핵 문제와 관련한 양국의 역할을 주문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또 중국과의 접촉에서는 남중국해 문제를, 러시아와 협의에서는 우크라이나 문제를 각각 제기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