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기라 '이념의 무게_마지막 잎새'(왼쪽) <국립현대미술관 사진 제공> |
한국 현대미술의 가능성…4인4색 '올해의 작가상'展
김기라·나현·오인환·하태범
(서울=연합뉴스) 김정선 기자 = 국립현대미술관이 한국 현대미술의 가능성과 비전,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작가를 지원하고 육성하는 '올해의 작가상 2015'전을 4일부터 서울관에서 연다.
올해의 작가상은 1995년부터 2010년까지 이어진 국립현대미술관의 '올해의 작가'전을 계승한 것으로, 2012년부터는 SBS문화재단과 공동 주최하고 있다.
4회를 맞는 올해 참여작가는 김기라(41), 나현(45), 오인환(50), 하태범(41) 등 4명이다.
이들 작가는 SBS문화재단 창작 후원금(각 4천만원)으로 새로운 작업을 선보이고 전시 기간 심사위원단의 심사를 통해 이 중 1명은 10월6일 '2015 올해의 작가'로 최종 선정된다.
이날 첫선을 보인 후보 작가 4명의 작품은 이 시대를 사는 작가의 다양한 관점과 현대미술의 지점을 펼쳐보였다.
김기라 작가는 정련된 영상과 사운드가 돋보이는 '떠다니는 마을'을 소개했다.
영화감독, 신경정신과 의사, 성우, 무용가, 시인, 현장미술가, 연기자, 음악가, 가수 등 다른 장르 전문가와 협업해 그 과정의 결과물을 작품으로 담았다고 한다.
'이념의 무게', '붉은 수레바퀴' 등 개별 작품은 일견 상이하게 보이지만 그러기 때문에 관람객에게 작가 의도와 현대미술에 대해 궁금증을 불러일으킨다.
간담회에 참여한 김 작가는 "이념의 무게는 어쩌면 지금 우리가 사는 이 시대 삶의 무게와 비슷하다"며 "삶의 무게는 결국 개인의 역사에서 갖는 가치에 의한 것으로, 큰 맥락에서 보면 공동선이라는 명제와 연결된다"고 설명했다.
나현 작가는 서울 도시 개발과 독일의 역사적 경험을 연결한 '바벨탑 프로젝트-난지도'를 보여준다.
작가가 연결했다는 것은 난지도와 베를린 '악마의 산'이다. 악마의 산은 제2차 세계대전 후 폐허가 된 도시 재건을 위해 베를린 서쪽에 전쟁 쓰레기를 한데 모아둔 곳이다.
식물과 흙 등으로 덮은 작품의 규모가 크고, 계단을 따라 작품 위로 올라가면 '조심! 뱀 출현지역'이라는 가상의 안내판이 보이는 등 외관상으로 관심을 끈다.
간담회에서 나 작가는 "바벨탑에 대한 여러 해석이 있지만 2개의 인공 산 자체가 저에게는 바벨탑"이라며 "다양한 언어로 얘기하는 사람들의 인터뷰도 보여줌으로써 다민족 사회에 과연 한국이 단일민족인지 다시 한번 '민족'에 대해 생각해 봤으면 한다"고 말했다.
오인환 작가의 작품에 대해 국립현대미술관은 "분홍색 테이프를 벽면에 부착했는데, 이는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화면에서 볼 수 없는 사각지대를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 작가의 작품 '사각지대 찾기'는 공간적 의미의 사각지대를 사회, 문화적 맥락으로 확장하고자 한 시도라고 한다.
전시장에 설치된 CCTV의 사각지대를 활용해 사각지대에 대한 공간적인 경험의 시간을 관람객에게 제공하는 작품도 포함됐다.
또한, 군대를 경험한 전역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병영생활에서 사적 공간을 찾았던 경험을 소개하고 일상의 경험으로서 사각지대 찾기를 조명하는 작품도 있다.
하태범 작가는 국내외 뉴스에 나오는 사건 사고의 모습과 목소리를 담은 '사건을 바라보는 시선'을 선보였다.
전시 공간 벽면에는 '파키스탄 학교 테러, 학생 등 141명 사망'처럼 테러, 사망, 교전, 난민 등의 단어가 포함된 뉴스의 헤드라인이 흰색 활자에 새겨졌다.
한쪽에는 여러 개의 방송 화면 모니터와 뉴스 속 사진, 비영리 구호단체 광고 등이 모여 있다.
하태범은 사진 이미지를 기반으로 영상, 조각 작업을 하는 작가로, 주로 관심을 갖는 주제는 사건 사고 현장과 이것을 일반인에게 전달하는 대중매체의 태도라고 한다.
후보 작가와 최종 수상자의 작품세계를 조망하는 현대미술 다큐멘터리가 제작돼 12월 방영될 예정이다.
이번 전시는 11월1일까지다. 문의 ☎ 02-3701-9500.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