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현대百 주가 급등…롯데家 분쟁 반사익(?)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8-04 16:15:39
  • -
  • +
  • 인쇄


신세계·현대百 주가 급등…롯데家 분쟁 반사익(?)



(서울=연합뉴스) 임수정 기자 = 신세계[004170]와 현대백화점[069960]을 필두로 유통주들이 4일 크게 올라 시장의 관심을 모았다.

일각에서는 이들 종목의 강세가 롯데그룹 경영권 분쟁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신세계는 전날보다 8.94% 급등한 23만1천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현대백화점도 5.74% 오른 15만6천500원에 장을 마쳤다.

이에 코스피 유통업지수는 2.60% 올라 의약품지수(2.93%) 다음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메르스에 직격탄을 맞아 크게 조정을 받았던 유통주는 최근 메르스의 종식과 그에 따른 소비심리 회복에 대한 기대로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또 현대백화점이 8월 판교점 신규 오픈을 앞두고 있고, 신세계도 2016년 말까지 영업면적 증가율이 약 5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도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여기에 롯데그룹의 진흙탕 경영권 분쟁으로 일부 백화점주가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다는 관측까지 더해지는 양상이다.

오는 12월 라이선스가 만료될 롯데면세점 서울 소공점·월드타워점이 이번 롯데판 '왕자의 난'으로 재승인 심사에서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점쳐지기 때문이다.

관세청은 지금까지 큰 하자가 없을 시 기존 사업자에게 대부분 재승인을 내줬지만, 사태의 장기화 조짐과 여론 악화 등으로 상황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지난달 서울시내 대기업 면세점 입찰에서 탈락한 신세계와 현대백화점이 적극적으로 경쟁에 뛰어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롯데면세점이 라이선스 재승인에 실패할 수 있다는 언론 보도 등이 나오며 신세계와 현대백화점 등 반사이익이 기대되는 종목에 투자자들이 쏠렸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같은 기대감이 과도하다는 측면이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양지혜 KB투자증권 연구원은 "유통주에 롯데사태로 인한 반사이익 기대감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이지만, 기존 사업자의 면세 사업권을 가져오기는 그리 쉬운 시나리오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양 연구원은 "면세점 사업권에 대한 기대감보다는 출점 모멘텀이나 내수심리 회복 등에 초점을 맞춰 업종을 바라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