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대비 북한 지역 수자원 파악 나선다
국토부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 첫 포함
(세종=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통일에 대비해 북한 지역 수자원에 대한 현황 파악 작업이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30일 '2016∼2020년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 입찰공고를 내면서 북한 지역 수자원장기계획을 세우기 위한 현황 파악을 주문했다고 3일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북한의 하천유역과 용수이용 현황 파악, 수자원 부존량과 시설에 대한 조사, 남한이 북한 수자원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관련 법·제도 개선안 제시 등을 요청했다.
하천법 23조에 따라 5년마다 세워지는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은 국가의 수자원 관리 '로드맵'이라고 할 수 있다.
1965년 처음 수립된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 북한 지역 수자원 관련 내용이 본격적으로 포함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2011년 확정된 '2011∼2020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는 남북 공유하천 관리 방안 등만 개략적으로만 담겼다.
국토부 관계자는 "통일에 대비해 정부가 올해부터 수립하기 시작한 '한반도 국토개발마스터플랜'에 맞춰 수자원 분야 계획을 세우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국토부는 이번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 도시·산간·해안·섬 등 지역별 가뭄피해 현황과 특성을 분석해 담기로 했다.
특히, 각 지역이 몇 년 빈도의 가뭄에 버틸 수 있는지 '이수안전도'를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물 공급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 중부지역에 극심한 가뭄이 발생해 도서·산간 지역이 피해를 받았다"며 "기존 계획이 전국을 117개 권역으로 나눠 분석했다면 이번에는 도서·산간 지역에 대해서 가뭄 위험을 더 세분화해 분석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수자원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은 착수일로부터 약 17개월 동안 진행된다. 다음 달 입찰자가 선정되면 최종 결과는 내년 말 나올 것으로 국토부는 예상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