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힘모아 '한방 과학화' 추진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8-03 12:00:10
  • -
  • +
  • 인쇄
한의계-정부, '근거중심 한의약 추진위' 발족


민관 힘모아 '한방 과학화' 추진

한의계-정부, '근거중심 한의약 추진위' 발족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한의계와 정부가 손잡고 한방의 과학화에 나섰다. 민관 차원에서 한의약을 과학적 기반 위에 올려놓으려는 작업에 착수한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범한의계가 참여하는 '근거중심 한의약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를 발족하고 4일 오후 3시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 첫 회의를 연다고 3일 밝혔다.

추진위에는 고득영 복지부 한의약정책관, 김남일 한의과대학학장협의회장, 손인철 한의학교육평가원장, 김갑성 한의학회장, 김필건 한의사협회장, 신준식 한방병원협회장, 이혜정 한의학연구원장, 박히준 경희대 한의대 교수, 김종욱 우석대 한의대 교수, 신병철 부산대 한의학전문대학원 교수 등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추진위는 감기, 비염, 화병, 뇌경색, 안면 신경마비(구안괘사) 등 30개 질환을 선정해 내년부터 2021년까지 차례로 질환별 표준임상진료지침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선정 질환에 대해서는 충분한 임상연구를 병행해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되 표준화로 말미암아 이른바 '비방'으로 불리는 한방 치료법이 사장되지 않도록 하는 등 한의약의 고유 특성을 충분히 고려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임상진료지침 정보센터, 지역한방임상센터 등 관련 인프라 구축에도 힘쓸 계획이다.

한의학은 그간 같은 질병인데도 치료방법이 한의사별, 의료기관별로 제각각이고 편차도 심한 편이었다. 이 때문에 과학적 근거를 중시하는 현대의학에서 한의학은 치료의학으로 발전하는 데 한계를 보였다. 이는 한의약의 국제화에도 걸림돌로 작용했다.

복지부 조귀훈 한의약산업과장은 "한의약 표준진료지침을 개발하면 한의약에 대한 건강보험 보장성을 확대할 근거를 확보할 수 있는 등 한의약에 대한 국민 접근성을 높이는 데 이바지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