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후 한중일 소재부품산업 경쟁력 비슷"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국내 중소기업들은 중국 업체의 추격이 거세져 5년 후 한국·중국·일본의 소재부품산업 경쟁력 수준이 비슷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중소기업중앙회는 600개 소재부품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소재부품 산업의 경쟁력 조사' 결과, 응답 업체의 절반가량이 이같이 답했다고 30일 밝혔다.
중소기업 주력제품과 중국·일본 제품의 경쟁력을 비교했을 때 지금은 중국보다 '앞서고 있다'(76.5%), 일본과는 '비슷하다'(59.5%)는 평가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5년 후에는 우리나라와 중국이 비슷해진다는 응답이 21.5%에서 48.3%로 껑충 뛰고, 일본과 비슷해진다는 응답 비율도 59.5%에서 62.3%로 더 높아졌다.
한국이 중국과 비슷해지거나 뒤처지는 이유는 기술·품질에서 중국 기업들이 추격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68.1%로 가장 많았다.
한국이 일본과 비슷해지거나 한국이 일본을 추월하는 이유로는 가장 많은 64.9%가 연구개발을 통한 기술·품질 경쟁력 확보를 꼽았다.
중소기업이 생각하는 세 나라의 소재부품산업 경쟁력 순위도 양상이 비슷했다.
경쟁력 순위는 현재와 5년 후 모두 일본-한국-중국 순으로 나타났지만 1위로 선정된 비중이 한국(28.2%→30.7%)과 중국(7.8%→22.2%)은 늘고 일본(64%→47.2%)은 줄었다.
현재 국내 중소기업 주력제품의 경쟁력을 100으로 볼 때 중국과 일본의 품질경쟁력은 각각 73.2, 107.9로 집계됐다. 기술경쟁력은 중국 74, 일본 108.2였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