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우즈베키스탄에서 LTE 상용서비스 시작
타슈켄트서 서비스 개시…"우즈베크 최고 ICT기업 발돋움할 것"
(서울=연합뉴스) 현윤경 기자 = KT[030200]가 우즈베키스탄에서 LTE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다.
KT는 29일 저녁(현지시간) 우즈베키스탄 수도 타슈켄트에서 4세대(4G) LTE 상용 서비스 개시 행사를 열어 LTE-TDD 서비스 상용화를 선언했다고 30일 밝혔다.
KT는 지난 4월 LTE-TDD 시범서비스를 시작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번에 타슈켄트의 98%와 주변 일부 도시를 아우르는 지역에 LTE 서비스를 상시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이에 앞서 KT는 2007년 타슈켄트에 현지 법인 슈퍼-아이맥스를 설립해 와이파이 단점을 보완한 무선통신 기술인 와이맥스 서비스를 독점 제공해왔다.
KT는 내년 말까지 서비스 제공 지역을 사마르칸트, 부하라, 페르가나벨리 등 우즈베키스탄 다른 주요 도시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현지 유선 통신 사업자인 이스트텔레콤 네트워크와 연계해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 구축 사업을 확장, 우즈베키스탄에서 ICT 분야 최고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발돋움한다는 구상이다.
KT는 우즈베키스탄 LTE-TDD 서비스 상용화로 국내에서는 LTE-FDD를, 해외에서는 LTE-TDD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최초의 통신 사업자로 자리매김했다.
전 세계에서 사용 중인 LTE 네트워크는 우리나라와 일본, 유럽 주요 국가가 채택한 주파수 분할 방식의 LTE-FDD, 중국과 인도, 호주 등에서 주로 서비스되는 시분할 방식의 LTE-TDD로 나뉜다.
LTE-TDD는 업로드와 다운로드 주파수 채널을 나누어 운영하는 방식의 LTE-FDD에 보다 같은 주파수 채널에 시간 차를 두고 업로드와 다운로드를 전송함으로써 업·다운로드 무선자원 분배를 더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