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협정 62주년 기념식 열려…유엔참전용사 4명 무공훈장(종합)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7-27 16:24:36
  • -
  • +
  • 인쇄
황 총리 "北 핵개발 포기하고 남북 공동번영 미래 열어야"

정전협정 62주년 기념식 열려…유엔참전용사 4명 무공훈장(종합)

황 총리 "北 핵개발 포기하고 남북 공동번영 미래 열어야"



(서울=연합뉴스) 이영재 기자 = 정부는 27일 6·25 정전협정 체결 62주년이자 '유엔군 참전의 날'을 맞아 서울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중앙기념식을 개최했다.

'함께 지켜온 대한민국, 함께 나아갈 대한민국'이라는 제목으로 열린 이날 기념식에는 황교안 국무총리를 비롯한 정부 주요 인사, 6·25 참전용사, 참전국 외교 사절, 시민, 군 장병 등 약 3천명이 참석했다.

황 총리는 기념사에서 "북한이 핵 개발을 포기한다면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길로 함께 나아갈 것"이라며 "핵무기 개발이 아니라 우리와의 교류 협력을 통해 남북 공동번영의 미래를 열어가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기념식에서는 6·25 전쟁 당시 미군 해병대원으로 함경남도 장진호 전투에서 싸운 헥터 캐퍼라타(86) 씨 등 유엔군 참전용사 4명이 태극무공훈장을 받았다.

6·25 전쟁에 미 공군 전투기 전대장으로 참전해 한국 공군의 현대화에 기여한 윈턴 마샬(96) 미 예비역 중장에게는 '유엔군 참전의 날 유공 국민훈장'이 수여됐다.

정부는 이번 기념식에서 유엔군 참전용사들의 공헌과 희생을 기리고자 21개국 참전용사 180명과 후손 170명을 초청했다.

이들 중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4월 콜롬비아 방문 당시 한국 초청을 약속했던 콜롬비아의 6·25 참전용사 세르히오 마르티네스 씨도 포함됐다.

6·25 전쟁 이후 대한민국 방어에 기여한 존 틸러리 전 유엔군사령관을 비롯한 역대 유엔군사령관들도 기념식에 참석했다.

이번 기념식에서는 인천상륙작전과 장진호전투를 통해 유엔군 참전용사들의 희생을 보여주는 기념공연도 진행됐다.

정부는 미국과 캐나다가 정전협정 체결일인 7월 27일을 6·25 참전의 날로 지정한 것과 연계해 2013년부터 이날을 '정전협정 및 유엔군 참전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정부가 개최한 중앙기념식 외에도 다양한 기념행사들이 열렸다.

유엔군사령부는 이날 오후 유엔군 부사령관 겸 미 7공군 사령관 테런스 오샤너시 중장 주관으로 판문점에서 정전협정 체결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오샤너시 부사령관은 "북한의 핵무기와 장거리 미사일 개발, 무기 확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은 이 지역의 안정을 지속적으로 위협하고 있다"며 정전협정을 지켜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밖에도 6·25 참전 17개국에서 온 참전용사 후손과 국내 대학생 약 170명은 지난 23일부터 오는 29일까지 6·25 전적지와 비무장지대(DMZ) 등을 답사하는 '참전용사 후손 평화캠프'를 진행 중이다.

전쟁기념관에서는 지난 25∼26일에 이어 이날도 저녁 9시부터 3시간 동안 '호국', '보훈', '통일'의 빛줄기를 상공으로 쏘아올리는 '평화의 빛' 행사가 열린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