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고용> 종합대책 주요 내용(표)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7-27 14:00:21
  • -
  • +
  • 인쇄

<청년고용> 종합대책 주요 내용(표)



┌───────┬─────────────────────────────┐

│구 분│내용│

├───────┼─────────────────────────────┤

│정년연장 등에 │ - 교원명퇴 확대로 2016∼2017년 1만5천명 채용 여력 확보│

│따른 단기 고용│ - 특수 교사 등 단계적 확충│

│충격 완화│ - 2017년까지 1만명 간호 인력 확충│

││ - 어린이집 보조·대체교사 단계적 확충│

││ - 시간선택제 공무원 2017년까지 4천500명 신규채용│

││ - 임금피크제 도입 통한 공공기관 청년채용 8천명 확대│

││ - 청년고용증대세세 신설│

││ - 연 1만명 규모의 세대간 상생고용 지원제도 운용│

││ - 청년인턴제를 우량 중소·중견기업 대상으로 연 5만명 규모│

││로 확대, 인턴 후 정규직 채용으로 이어지도록 지원│

││ - 유망·성장 직종 골라 양질 직업훈련 연 5만명에 확대제공 │

││ - 노동개혁 가속화│

││ - 서비스분야 경제활성화 법안 조속한 국회 통과 주력│

││ - 의료·관광·콘텐츠·소프트웨어 등 유망산업 육성│

│││

│││

│││

├───────┼─────────────────────────────┤

│현장 중심의│ - 산업계 관점의 대학평가 확대│

│인력 양성 등│ -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사업 평가과정에 취업성과 반영│

│미스매치 해소 │ - 산학일체형 도제학교(고교), Uni-Tech(전문대), 장기현장실│

││습제(대학) 등 재학생 단계의 일·학습 병행제 지속 확산│

││ - 대학 세부 전공별로 중장기 인력수급전망 10월말까지 제시 │

││ - 올해 말까지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PRIME) 사업의 │

││추진계획 확정, 우수대학 중심의 인센티브 집중 지원│

││ - 주거·교통·육아 등 근로여건 개선과 산업기능요원 배정│

││확대 등으로 중소기업 취업 촉진│

├───────┼─────────────────────────────┤

│청년 고용지원 │ - 각 부처의 청년 일자리사업(직업훈련·인턴·고용서비스)│

│인프라 확충 및│34개를 18개로 통폐합│

│효율화│ - 상담, 직업훈련, 인턴, 해외취업, 직업알선 등 단계별 서비│

││스를 통합 지원하는 '청년내 일찾기 패키지' 신설, 연 20만│

││명 지원│

││ - 대학내 취업지원서비스 전달하는 청년고용센터 전국 확대, │

││다른 청년 취업기능과 연계 강화│

││ - 청년 해외취업 연 1만명 규모로 확대│

││ - 해외취업에 필요한 언어와 직무역량을 가르치는 케이무브│

││(K-Move) 사업 재정비│

││ - 케이무브 센터(현재 10개) 5곳 추가 설치│

││ - 민간 알선시장의 가격·진입 규제 개선│

│││

│││

└───────┴─────────────────────────────┘



※ 자료 : 기획재정부

(세종=연합뉴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