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수 생물자원 연구 기지' 낙동강생물자원관 개관
한반도 고유 생물자원 연간 400여종 조사·실용화 연구
(세종=연합뉴스) 임주영 기자 = 하천과 호수 등 담수(淡水·민물)에 서식하는 생물자원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이 28일 문을 연다.
자원관은 경북 상주시 낙동강변의 12만 3천592㎢ 부지에 연구수장동, 전시교육동, 전시 및 연구 온실 등의 시설을 갖췄다.
550만점 이상의 생물을 보존할 수 있는 최첨단 수장(표본 보관) 시설과 연구 시설 등에서 담수 생물자원의 조사·발굴과 유용성 연구, 전문인력 양성에 나선다.
우리나라 담수에는 의약품 등 산업의 원천 소재로서 활용 가치가 큰 미생물과 동·식물 등이 10만종 이상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 중 4만여종이 현재까지 발견됐으며, 매년 1천여종이 새로 발견된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자원관은 연간 400여 종 이상의 담수 생물을 조사·발굴할 계획이다.
자원관은 담수 생물의 발견, 유용 성분 및 기능 분석, 민간 부문과 연구 성과 공유 등을 통해 생물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원관에는 멸종된 바바리 사자 등 6종의 희귀 표본과 세계의 주요 생물 표본 5천여점이 전시돼 전시·생태 교육 등의 프로그램 운영도 가능하다.
생물자원을 활용한 세계 생물산업(BT) 규모는 매년 15.5%씩 급성장하고 있으나, 국내 산업 규모는 세계 시장의 2.4% 수준에 불과해 아직 기대치에 못미치는 수준이다.
안영희 자원관장은 "국가 생물주권 확보와 생물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세계의 생물자원 활용기술 개발과 산업화 경쟁에서 앞서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