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 위협' 드론 무력화하는 방어체계 개발붐
(서울=연합뉴스) 김선한 기자 = 핵발전소, 공항 등 국가 주요 시설물들에 대한 무인기(드론) 공격 위협이 현실로 나타나면서 드론 방어 체계 개발붐도 덩달아 불기 시작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약방의 감초'로 급부상한 드론의 위협에 맞서 미국, 프랑스, 독일 등 주요 국가들이 방어 체계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프랑스의 방위산업체 탈레스 SA는 탐지 레이더, 식별 카메라, 첨단 전파교란장치 등 3부분으로 이루어진 드론 방어체계 개발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르면 내년 말까지 시제품을 선보일 계획인 이 방어체계는 핵발전소처럼 민감한 주요 시설물 상공에 접근하는 드론을 3단계로 무력화한다.
우선 레이더가 가로 8㎞ 내에서 180도 각도로 수백 개 물체를 한 번에 탐지한다. 이어 고화질의 수직 스캔 카메라가 드론을 추적해 위협되는지를 조작자에게 알려준다.
드론이 위협적이라고 판단되면 전파교란장치를 통해 여러 개의 전파를 보내 드론의 GPS와 통신 연결부를 수초 내에 무력화한다. 이에 드론은 착륙하거나 기지로 귀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독일에 본사를 둔 미사일 전문업체 MBDA도 지난 5월 시험에서 500m 거리에서 움직이는 드론을 레이저로 격추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이런 성공에도 레이저 격추 방법은 제약이 많아 실용성이 적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정부 시설물이나 체육관처럼 민감한 장소 주위 상공은 접근이 제한되는 데다 대부분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 있어 침투한 드론을 격추하는 것만이 능사가 아닐 때도 있기 때문이다.
미국 업체들 가운데 마이크로폰이나 레이더를 이용해 드론의 접근을 탐지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곳도 있다.
드론 탐지 시스템 개발업체 중의 하나인 드론쉴드 LLC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교도소 보호를 위해 마이크로폰과 레이더를 이용한 대(對)드론 체계를 이용해왔다.
중요한 것은 비용이다. 드론 자체가 저렴하기 때문에 아무리 정교한 상업용 드론 방어 체계라도 1천 달러 이하여야 한다는 지적도 많다.
하지만 영국의 브라이터 서베이런스가 개발한 드론 방어 체계는 100만 달러(11억 6천만 원) 가량하지만 영국 국내는 물론이고 미국과 프랑스 등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그러나 드론 무력화와 관련해 가장 중요한 의문점 중의 하나는 누가 언제 이를 무력화해야 하느냐는 점이다. 여전히 법적으로 논란을 빚을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