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줄어 안쓰는 교실 늘어…인천 유휴교실 37% 방치
"주민 공공시설 등 효율적 활용 방안 찾아야"
(인천=연합뉴스) 신민재 기자 = 인구 유출과 저출산에 따른 학생수 감소로 인천의 원도심을 중심으로 사용하지 않는 '유휴교실'이 늘어나고 있다.
이들 유휴교실은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해 대부분 방과후 교실로 쓰이고 있으며 30% 이상은 방치된 상태다.
23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으로 인천 시내 순수 유휴교실은 초등학교 17개교 33실, 중학교 10개교 8실, 고등학교 6개교 5실 등 총 33개교 46실에 달한다.
이들 유휴교실은 해당 학교들이 학급별로 학생수를 줄이는 학급수 조정을 거친 뒤에도 남아도는 교실이다.
이 가운데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해 사용하지 않는 곳이 17실(36.9%)에 이르고 방과후 교실로 활용 중인 곳이 11실(23.9%)이다.
다른 학교들은 동아리실, 식당, 상담실, 관리실, 탁구실, 체육실 등으로 제각각 사용하고 있다.
지방의회를 비롯한 지역사회 각계에서는 교육 당국이 빈 교실을 내버려두지 말고 체계적으로 관리해 더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인천시의회 이한구 의원(계양구 4선거구)은 "상당수 학교가 유휴교실을 많은 예산을 들여 활용도 낮은 시설로 사용하는 것은 문제"라며 "유휴교실을 주민편의를 위한 공공시설로 활용하는 방안을 함께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특히 학생수가 줄고 있는 원도심의 경우 학교 여유공간을 활용해 공공성을 높일 수 있는 시범학교를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시교육청은 이런 지적에 대해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지만 당장 주민에 개방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학교 내에 주민을 위한 공공시설을 운영하기 위해선 학생들과 독립된 별도의 공간으로 나눠야 하고 화장실, 수도, 전기, 출입통제 등에 대한 별도 관리주체를 둬야 한다는 것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학생수 감소로 유휴교실이 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방과후 교실, 돌봄교실 등으로 나름대로 활용하고 있다"면서 "유휴교실을 공공시설로 내주는 문제는 주민 이용에 따른 안전사고 관리 등 추가로 검토할 사항이 많아 현재 학교 구조상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