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제2매립장 조성놓고 신전동-강서지구 '민·민 갈등'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7-23 10:12:08
  • -
  • +
  • 인쇄
유치나선 신전동 "냄새 없는 지붕형 친환경 매립장"
가경동 "지역 발전 저해, 서부지역 환경피해 불보듯"

청주 제2매립장 조성놓고 신전동-강서지구 '민·민 갈등'

유치나선 신전동 "냄새 없는 지붕형 친환경 매립장"

가경동 "지역 발전 저해, 서부지역 환경피해 불보듯"



(청주=연합뉴스) 박재천 기자 = 청주 제2쓰레기매립장 유치를 둘러싸고 주민들이 찬반으로 나뉘어 갈등을 빚고 있다.

입지 후보지 두 곳 가운데 한 곳인 흥덕구 신전동 지역과 강서지구로 대변되는 인근 가경동 일대가 대립하는 양상이다.

양측은 23일 제2매립장 조성 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 주민설명회에서도 각각 상반된 주장을 펼치며 맞섰다.

강서지구 아파트 단지 주민 등으로 구성된 '신전동 쓰레기매립장 건립 반대 추진위원회'는 강서지구에서 신전동 후보지까지 직선거리가 2.4km에 불과한데도 서부지역 주민들의 의사를 묻지 않고 신전동 주민들이 일방적으로 매립장 유치를 신청했다며 반발해왔다.

반대추진위는 "매립장이 통합 청주시 한가운데에 들어서면 청주가 확장·발전하는데 큰 걸림돌이 될 것"이라며 "석곡사거리 근처에 교차로가 신설되고 청주∼세종시 연결도로가 내년 5월 개통되는데 이 도로 초입에 매립장이 위치하는 꼴"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분진, 각종 유해물질 등이 편서풍을 타고 시내 전역으로 퍼져 나갈 것이고, 이 경우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곳이 서부지역"이라는 취지로 반대 여론을 형성하고 있다.

반대추진위는 제2매립장이 신전동에 건립되면 40년 이상 매년 최대 10억원의 주민지원기금 등 각종 인센티브가 신전동 유치 마을에만 제공된다는 점도 알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신전동 후보지 주민들은 매립장 간접영향권(2km 이내) 밖에 있는 주민들이 정확한 사정을 모르고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신전동 주민들은 "쓰레기를 노지에 그냥 묻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데 제2매립장은 건물 내에 공기정화시설 등을 갖춘 친환경 지붕형으로 조성돼 냄새가 나지 않는다"며 "우리 마을 주민들도 심사숙고해서 유치에 나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매립이 종료되면 체육공원 등 주민 편의시설이 조성될 것"이라며 "시내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오창읍 후기리보다 신전동이 접근성이 뛰어나다/ 훗날을 생각하면 가경동 등이 반대할 일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신전동 후보지의 한 주민은 "우리나라 최고라는 충남 당진 매립장보다 업그레이드 된 매립장을 조성하겠다는 것이 청주시의 계획"이라며 "외부 전문기관이 수행 중인 용역에서 더 높은 점수를 얻는 곳이 입지로 선정되는 만큼 결과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 주민의 말대로 시는 지난 4월부터 전문기관을 통해 입지 타당성 조사 용역을 벌이고 있다.

용역 수행 기관이 오는 10월까지 보고서를 제출하면 환경 분야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입지선정위원회가 최적의 입지를 결정하게 된다.

시는 앞서 3차례에 걸친 제2매립장 입지 후보지 공모가 무위에 그치자 응모 조건을 대폭 손질, 신전동과 후기리의 응모를 끌어냈다.

'후보지 부지 경계 기준 반경 2km 이내 거주민 70% 이상 동의와 토지 소유자 70% 이상 매각 동의'로 돼 있던 기존 응모 조건을 4차 공모에서는 '후보지(법정 동·리)에 주민등록을 둔 가구주의 70% 이상 동의와 후보지 토지 소유자의 50% 이상 매각 동의'로 크게 완화한 것이다.

신전동 주변과 달리 후기리 주변, 즉 오창신도시 쪽에서는 별다른 반대 목소리가 나오지 않고 있다.

시는 제2매립장 입지가 확정되면 환경영향평가, 실시설계 등 절차를 거쳐 2017년 상반기에 공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포화 상태에 이른 현 학천리매립장은 확장 공사 후 2019년까지 사용되다가 폐쇄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