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제 금값 하락세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금 가격이 하락을 거듭하는 가운데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서 직원이 금시세 상황 그래프를 보고 있다. 뉴욕 상품거래소(COMEX)에서 20일(현지시간) 거래의 중심인 8월물 가격은 지난 주말보다 25.1달러가 내린 온스당 1106.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
세계 원자재 가격, 13년만에 바닥…금값 급락 계속돼(종합)
(서울=연합뉴스) 선재규 기자 = 석유와 금값 약세가 이어지면서 곡물 및 다른 광물 시세도 공급 과잉으로, 전반적인 원자재 가격이 13년 사이 바닥이라고 블룸버그가 21일 전했다.
미국의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이 갈수록 커지면서 달러 가치가 더 뛸 것으로 관측되는 점도 원자재 가격 약세를 부추기는 요소로 분석됐다.
블룸버그 원자재 지수는 20일 오후(이하 현지시간) 1.2% 떨어진 96.3564를 기록했다. 이로써 5거래일째 주저앉아 지난 3월 이후 최장기 하락했다고 블룸버그가 분석했다.
반면, 10개 주요 교역국 통화 바스켓으로 산정되는 블룸버그 달러 현물 지수는 0.2% 뛰면서 4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는 지난 3월 이후 최장기 상승이라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금 선물 가격은 20일 뉴욕에서 2% 하락해 온스당 1,109.70달러에 거래됐다.
금값은 이날 앞선 아시아 거래에서는 하락 폭이 한때 4.6%에 달했다.
금 가격 하락으로 은과 백금, 팔라듐도 동반 하락했다.
현물 백금 가격은 5거래일 연속 밀려 온스당 942.49달러로 떨어져 6년 반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팔라듐 가격은 한때 온스당 593달러까지 떨어져 2012년 10월 이후 최저치로 밀렸으나 이후 606달러로 회복했다. 은가격은 0.7% 떨어진 606달러로 마쳤다.
방콕 소재 필립 자산운용의 바타나 봉시닌 최고경영자(CEO)는 블룸버그에 "미국의 금리 인상은 달러 추가 강세로 이어질 것이며, 그렇게 되면 더 많은 자금이 원자재와 신흥시장 자산에서 이탈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원자재 약세가 심화할 것이라는 얘기다.
유가 하락세도 3주째 이어졌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9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1.5% 낮아진 50.15달러에 마쳐 지난 4월2일 이후 최저치를 경신했다.
로이터는 사우디의 원유 수출 감소에도 정유 제품 재고가 넘치면서, 유가 약세가 이어지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북해 브렌트유 9월 인도분은 20일 배럴당 56.75달러로 35센트 하락했다고 로이터가 집계했다.
브렌트유는 이로써 이달 들어 10% 이상 가격이 내렸다.
미국 서부텍사스유(WTI) 선물도 이날 13센트 하락해 50.76달러에 거래됐다.
JBC 에너지는 로이터가 전한 보고서에서 "최근 몇 달 많이 늘어난 정유 수요가 올 하반기에는 주춤할 것"이라면서 "이것이 원유 수요에도 충격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따라서 "전 세계의 원유 공급 과잉이 연말까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는 석유 선물 투자도 공급 과잉이 조만간 개선되기 어려울 것임을 예고하는 쪽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20일 전했다.
블룸버그는 지난 14일 종료된 한 주간의 미 원자재선물거래위원회(CFTC) 집계를 인용해 이 기간의 WTI 선물 투자 순(純) 롱(매수) 포지션이 15% 감소했다고 전했다.
롱 포지션은 7.9% 감소했으나, 쇼트(매도) 포지션은 4.2% 증가했다.
시장이 유가 약세 장기화를 전망한다는 의미라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구리 가격도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 속에 약세가 계속됐다. 중국은 전 세계 구리의 40%를 수입한다.
뉴욕 상품거래소(COMEX)에서 가장 활발하게 거래되는 9월물 구리 선물 가격은 0.6% 밀린 파운드당 2.4815달러로 지난 7일 이후 최저 수준을 보였다.
국제 설탕가격도 큰 폭으로 떨어졌다.
뉴욕선물시장에서 원당(정제 이전 상태의 설탕) 가격은 파운드당 4.4% 하락한 11.44센트로 2009년 1월 이후 최저치로 밀렸다. 세계 최대 설탕 생산국인 브라질의 헤알화 가치는 올해 17% 떨어지며 설탕 가격 하락의 충격을 고스란히 받았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