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연합뉴스 DB>> |
충북도의회 교육위 '엉터리 용역' 탓 토론회 차질
'교복 학교 주관 구매제' 설문조사 졸속…23일 예정 토론회 연기 검토
(청주=연합뉴스) 심규석 기자 = 충북도의회 교육위원회가 '교복 학교 주관 구매제'의 정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개최하려던 토론회를 돌연 연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학교 주관 교복 구매의 실태와 문제점 파악을 위해 외부에 의뢰한 설문조사가 부실한 것으로 뒤늦게 드러나 이 자료를 토대로 토론회를 열려던 계획에 차질이 생겼기 때문이다.
16일 도의회에 따르면 교육위원회는 오는 23일 '교복 학교 주관 구매제' 관련 토론회를 열 계획이었다. 학부모들의 교육비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이 제도가 조기 정착될 수 있게 후속 대책을 마련하자는 취지에서다.
이 토론회는 정영수(진천1·새누리당) 교육위 부위원장이 주관했다.
교육위는 지난 5월 청주의 경영컨설팅 전문 업체인 H사에 교복 구매 실태 조사를 위한 연구 용역을 맡겼다. 용역비는 500만원이다.
정 부위원장은 지난달 8∼17일 컨설팅업체 직원들과 함께 도내 5개 시·군 6개 중학교와 교복 판매업체 10곳을 다니며 직접 설문·면접 조사를 벌이는 등 열성을 보였다.
이번 조사에 학교 주관 구매제를 통해 교복을 산 학생 396명(54.4%)과 개별 구매 학생 304명(41.8%), 기타 28명(3.8%) 등 728명이 응했다.
그러나 조사가 졸속적으로 이뤄졌다.
교복 구매 방식이 제각각이었던 응답자들에게 일괄적으로 '학교 주관 구매제를 이용해 교복을 다시 구입할지'를 물었다.
학교 주관 구매제에 만족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질문이었는데, 개별적으로 교복을 구매한 학생들로서는 황당한 질문이었다.
이 질문에 답변한 723명 가운데 실제 학교 주관 구매에 참여한 학생은 396명뿐이었다. 절반 가까운 응답자가 학교 주관 구매에 참여하지 않았는데 재구매할지에 대해 답한 셈이다.
이들 응답자 전체를 대상으로 학교 주관 구매제의 만족도를 묻기도 했다.
불량제품 교환이나 환불, 무료 수선 등 학교 주관 구매제의 사후관리 서비스 관련 질문도 전체 설문조사 대상자를 상대로 했고, 721명이 응답했다.
결국 학교 주관 구매에 참여하지 않았던 학생들에게까지 재구매할지, 만족하는지, 어떤 애프터서비스를 받고 싶은지 등에 대해 질문한 것이다.
이 때문에 설문조사 결과가 실제로 학교 주관 구매제를 이용한 학생들의 평가와는 전혀 다르게 왜곡될 수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학교 주관 구매에 참여했던 학생들의 평가를 토대로 문제점을 파악, 보완책을 마련하려던 조사 취지를 무색하게 하는 것으로, 이 조사 자료를 근거로 토론회를 여는 것 자체가 의미가 없어진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도의원은 "연구 용역 결과가 엉망"이라며 "이 조사 자료로는 실제 학교 주관 구매의 만족도나 문제점을 평가할 수 없으니 토론회를 열어도 실질적인 보완책 마련이 어려운 실정"이라고 털어놨다.
도의회 사무국의 한 관계자는 "재용역이 불가피한 상황"며 "시일이 늦어질 수 있는 만큼 도의원들과 논의, 토론회 연기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