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경제 살리려면 독일에서 배워라"
현대경제硏, 독일 소비회복 배경 분석 보고서 발간
(서울=연합뉴스) 정준영 기자 = "일자리가 늘어나는 가운데 기업실적 호조와 함께 임금이 오르자 소비가 회복됐다. 저물가와 저금리는 실질 구매력을 키웠고 자산가격 상승은 소비 여력 확충을 도왔다. 가계부채도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6일 최근 독일의 소비 회복 배경을 다섯 가지로 분석한 보고서를 내놨다.
우선 2002~2005년 고용개혁(하르츠개혁)으로 여성과 고령자 일자리가 늘어난 것이 소비 회복 배경으로 꼽혔다.
그 결과 실업률은 2005년 11.2%에서 지난 1분기에는 역대 최저인 4.8%로 떨어졌다. 여성과 고령자 고용률은 10년 사이에 각각 10%포인트, 20%포인트 가량 상승했다. 자연스럽게 소비인구 증가로 이어졌다.
기업실적 호조가 임금 상승으로 연결된 영향도 컸다.
생산성 증가가 동반된 기업의 실적 개선은 임금 상승으로 이어지며 소비여력을 키웠다는 것이다. 독일 근로자 월평균 임금은 2010년 2천366유로에서 2014년 2천633유로로 연평균 2.7% 늘었다.
저물가·저금리는 실질구매력을 키웠다.
독일 물가상승률은 2014년 이후 0%대로, 1년 미만 예금금리는 2013년 이후 0%대로 각각 하락했다. 이에 따라 가계저축률은 2010년 9.9%에서 2014년 9.4%로 낮아지고 소비성향을 나타내는 구매의욕지수는 지난 3월 8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부동산 가격과 주가 상승도 소비 여력을 늘리는 요인이 됐다.
이밖에 가계부채가 안정적으로 관리된 상황은 소비에 우호적이었다.
실제로 독일의 가계부채/국내총생산 비율은 2010년 1분기 63.7%에서 2014년 3분기 54.0%로 낮아졌다.
연구원은 독일 사례가 우리 경제에 주는 시사점으로 세 가지를 제시했다.
조호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근본적으로 기업 경쟁력 강화 노력이 강하게 추진되는 가운데 신규 채용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와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를 통해 기업과 가계 간의 '실적 개선→소득 증가'의 선순환 고리를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적극적인 고용시장 정책으로 일자리 창출력을 높여 소비 여력을 갖춘 계층을 늘려나가야 한다"며 "아울러 과도한 가계부채는 소비를 제약할 수 있는 만큼 소득계층별로 특화된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