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압·수탈 근거' 조선총독부 기록물 인터넷 제공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식민지배체제를 구축한 기록이 담긴 조선총독부 기록물을 인터넷으로 편리하게 열람할 수 있게 됐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조선총독부가 생산한 기록물 약 17만건의 원문 이미지를 17일부터 누리집(www.archives.go.kr)으로 제공한다고 16일 밝혔다.
조선총독부 기록물은 일제의 식민침탈과 우리 민족의 항일운동을 규명하는 데 중요한 사료다.
이번에 인터넷으로 제공하는 기록물은 조선총독부 중앙관서와 지방 7개 도, 각급 학교가 생산한 기록물 총 17만건, 393만여 장이다.
지금까지 조선총독부 기록물을 보려면 국가기록원을 방문해 열람하거나, 미리 온라인 등으로 신청해 야 결과를 받아볼 수 있었기 때문에 소수 학술 연구자들 위주로 열람 서비스를 이용했다.
17일부터는 누구나 국가기록원 누리집에 접속해 키워드로 편리하게 원문 이미지를 열람할 수 있다.
조선총독부 중앙관서 기록물은 국권 침탈, 항일운동에 대한 탄압, 자원 수탈, 지방행정구역 개편, 도로·교량·항만공사 등 일제가 식민지배체제를 구축하고 탄압과 수탈을 강화한 과정을 보여준다.
각 도(道)의 기록물에서는 지방행정에 관한 내용을, 학교 기록물에서는 공·사립 국민학교·중학교 설치와 폐지, 학교 연혁 등을 살펴볼 수 있다.
국가기록원은 이번 조선총독부 기록물에 이어 강원·충청권 지적원도 등 약 370만건을 추가, 연말까지 총 920만 건을 제공할 예정이다.
2017년에는 인터넷으로 열람할 수 있는 원문을 총 1천840만건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