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인양' 中국영 최대업체 1천900여건 구조 참여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7-15 18:32:36
  • -
  • +
  • 인쇄
상하이 샐비지, 정부 검토안과 다른 방법 내놔 주목
△ (세종=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인양컨설팅 업체인 영국 TMC의 스테판 티어니씨(오른쪽)가 1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해수부 기자실에서 열린 세월호 선체인양 우선협상대상업체 선정 결과 발표 브리핑에서 우선 협상대산업체로 선정된 상하이 살비지 컨소시엄의 인양 제안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해수부는 평가 진행 결과 상하이 살비지 컨소시엄, 차이나 옌타이 살비지 컨소시엄, 타이탄 마리타임 컨소시엄 순으로 협상 우선 순위가 결정되었다고 밝혔다. 2015.7.15 scoop@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f6464 (끝)

'세월호 인양' 中국영 최대업체 1천900여건 구조 참여

상하이 샐비지, 정부 검토안과 다른 방법 내놔 주목







(세종=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세월호 인양업체 선정을 위한 국제입찰에서 최우선협상대상자가 된 중국 교통운수부 산하 국영기업 '상하이 샐비지'는 구난 분야의 중국 최대 업체로 꼽힌다.

15일 해양수산부와 중국 교통운수부 홈페이지 등에 따르면 상하이 샐비지는 1951년 설립돼 현재 잠수사나 엔지니어 등 구난분야 전문인력이 1천400명, 작년 매출이 약 3천220억에 달하는 거대 업체다.

2011년 5월 갱신된 자료를 보면 상하이 샐비지는 약 1천900건 이상의 선박 구조 작업, 1천건이 넘는 잔해 제거 작업을 수행하고 바다로 유출된 기름 2만t가량을 제거한 실적이 있다.

특히 상하이 샐비지는 2002년 1월 수심 58.2m에서 선박 총 톤수(GRT)가 1만3천675t에 달하는 화물선을 인양한 바 있다.

당시 선체를 6등분으로 절단해 인양하긴 했지만 세월호가 침몰한 진도 앞바다처럼 잠수 시야 확보가 어렵고 조류가 빠른(약 5노트) 환경에서의 작업이었다.

이 업체는 지난달 초 중국 양쯔(揚子)강에서 침몰한 유람선 '둥팡즈싱'(東方之星)호 인양작업에 참여하기도 했다.

교통운수부는 상하이 샐비지를 "중국에서 가장 큰 전문 해양구조업체 일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대규모 선박 인양을 위한 국제계약의 주요 당사자가 되는 회사"라고 소개했다.

상하이 샐비지는 우리나라 오션씨엔아이와 지분을 7대3으로 나눠 컨소시엄을 꾸렸다. 오션씨엔아이는 2008년 설립돼 해저케이블 공사를 전문으로 한다.

컨소시엄은 선체 내부에 압축공기를 넣어 선체를 약간 들어 올린 뒤 아래쪽에 생기는 공간에 3.5m 간격으로 폭 1.8m, 길이 28m의 인양용 철제빔을 설치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 철제빔을 현대중공업[009540]의 1만t급 크레인 한 대로 끌어올려 선체를 수심 23m까지 올리고 약 2㎞ 떨어진 안전구역으로 수중 이동시켜 대기 중인 반(半)잠수 상태의 플로팅도크에 올린다는 것이 컨소시엄의 계획이다.

컨소시엄은 이후 선체를 실은 플로팅도크가 자체 부력으로 서서히 상승하게 하고 나서 예인선을 이용, 직선거리로 약 80㎞ 떨어진 목포 신항에 보낸다고 생각이다.







이 방법은 앞서 해수부 산하 세월호 선체인양을 위한 기술검토 태스크포스(TF)가 내놓은 '선체에 100개에 가까운 구멍을 뚫어 내부에 인양점을 만들고서 1만t급과 8천t급 크레인 2대로 수심 30m에서 플로팅도크에 올린다'는 방안과 상당히 다르다.

인양점을 선체 내부가 아닌 외부에 만든다는 점, 선체를 수중에서 더 높게 들어 올린다는 점, 2대의 크레인이 아닌 1대의 크레인만 이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연영진 세월호선체인양추진단장은 "기술검토안은 인양점을 선내에 만들기 때문에 불안요소가 솔직히 있었다"며 "상하이 샐비지의 방안은 선체 밖에 빔을 설치하는 것이어서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선체를 수중에서 이동할 때는 수심 20m 정도로 충분히 높여 하는 것이 해저 면에 닿아 선체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없어 안전하다"며 "크레인도 2대 쓰는 것보다 1대 쓰는 것이 안정성에서 훨씬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상하이 샐비지와 오션씨엔아이 컨소시엄이 인양업체로 최종 선정되면 올해 9월께는 잔존유 제거와 시신 유실 방지 작업이 시작될 것으로 해수부는 예상했다.

본격적인 수중 작업은 내년 초 이뤄질 것으로 보이며 내년 7월께 인양이 완료될 전망이다. 선체 내부에서의 시신 수습은 선체가 육지로 올려지고 나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