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도적 불신임에 일단 버티는 총장…중앙대는 어디로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7-13 17:20:26
  • -
  • +
  • 인쇄
"학자로서의 명예걸고 물러서라" 요구에도 학교·재단 '묵묵부답'
△ 중앙대 총장 불신임 투표 결과 기자회견 (서울=연합뉴스) 박정헌 기자 = 중앙대학교 교수협의회 소속 교수들이 13일 오전 서울 동작구 중앙대학교 R&D센터서 열린 '중앙대학교 전체 교수 총장불신임 투표 결과 공표 기자회견'에서 재단 측에 불신임 투표 결과를 수용해 총장을 해임하고 대학 정상화에 협력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압도적 불신임에 일단 버티는 총장…중앙대는 어디로

"학자로서의 명예걸고 물러서라" 요구에도 학교·재단 '묵묵부답'



(서울=연합뉴스) 채새롬 기자 = 중앙대 교수협의회가 13일 투표로 이용구 총장에 대한 불신임을 결정, '학사 구조 선진화계획'으로 촉발된 학내 갈등이 정점으로 치닫고 있는 형국이다.

4월 박용성 전 이사장이 대학 구조조정 등 선전화계획에 반대하는 교수들을 향해 "목을 쳐 주겠다"는 막말을 쏟아내고 그 여파로 사퇴한 이후 학내에서는 이 총장도 사태의 책임을 져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했던 터였다.

교협은 그동안 "이 총장이 선진화계획 추진을 주도해 학내 갈등을 일으키고 이사장과 재단의 비민주적 학교 운영을 수수방관해 왔다"고 언급하며 이 총장 책임론을 거론해 왔다.

방학 중인 교수들이 60%가 넘는 이례적인 참여율을 보인 것은 총장에 대한 강한 불신임 의지를 확인한 것이다. 불신임 찬성표는 93.97%에 달했다.

학교는 2008년 두산그룹에 인수된 이후 계속된 구조조정 시도로 학내 갈등이 끊이지 않았지만, 이번 총장 불신임 사태의 직접적인 원인은 지난 2월부터 추진된 선진화계획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시각이다.

중앙대는 지난 2월 학과제 전면 폐지를 골자로 한 선진화계획을 발표했으나 학내외 거센 반발에 부닥쳤다.

3월 교수들이 계획안에 대한 찬반 투표를 추진하자 이 총장은 투표를 학내질서를 문란케 하는 엄중한 해교행위로 규정하는 내용의 이메일을 교수들에게 돌려 반발을 샀다.

특히 총학생회 성명서를 교수들의 의견 표명을 반대하는 내용으로 왜곡해 배포하는 등 학내 여론을 조작했다는 논란에 휘말리기도 했다.

이 때문에 박 전 이사장이 사퇴한 직후 이 총장도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일단 공은 이 총장에게 넘어갔다.

불신임은 비록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총장이기 이전에 명예를 중시하는 학자에게는 치명타로 여겨진다.

이전에도 교수들의 불신임을 받은 대학 총장들은 대개 물러났다.

전주대에서는 2012년 고건 총장이 교수들의 내부 통신망을 폐쇄한 데 대해 교수회가 불신임안을 통과시키자 사퇴했다. 대기업 사외이사 겸직 논란이 불거지면서 2002년 사퇴한 이기준 전 서울대 총장은 총장 불신임 투표, 총학생회의 본부 점거 농성 등 내홍을 겪은 끝에 중도하차했다.

중앙대 100년 역사상 처음 불신임을 받았다는 것도 이 총장에게는 적잖은 부담일 수 있다.

2007년 중앙대 교협이 이명박 한나라당 대선후보 캠프에 참여해 논란이 된 박범훈 전 총장에 대해 신임투표를 했지만, 그때는 투표자의 55.5%가 신임해 가까스로 총장직이 유지됐다.

이날 김누리 교협 비상대책위원장은 "94%의 교수들이 신임하지 않는 총장이 지속될 수 있다고는 아무도 생각할 수 없다. 최소한의 상식을 가진 총장, 학교법인이라면 이런 터무니없는 상황을 지속하지 않으리라 생각한다"며 이 총장의 사퇴를 종용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학교 측은 언급을 자제하면서도 "교협 투표는 법적 구속력이 없다"는 데 방점을 찍었다. 일단 버티는 모양새다.

중앙대 본부 관계자는 투표 결과에 대해 "대학교수들이 변화와 개혁에 얼마나 크게 저항하는지 보여주는 결과"라고 밝히며 오히려 시각차를 드러냈다. 재단 관계자도 별다른 언급을 피하면서도 "(해임과 관련한) 이사회 소집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 총장이 버티기에 들어갈 경우 교협은 이메일로 교수들을 협박한 혐의 등으로 이 총장을 고소하는 등 법적 대응 방안도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이 총장이 버티기에 들어가면 학내 갈등의 생채기는 더욱 깊어질 전망이다. 교협으로서도 가만히 있을 수는 없기 때문에 더욱 높은 단계의 집단행동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학교 관계자는 "이 총장과 교협의 대립이 더욱 격화되면 이에 따른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들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