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 강제노동' 부정 파장에 한일 의원외교도 '냉각'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7-10 20:57:19
  • -
  • +
  • 인쇄
공동성명에 '세계유산 등록 환영-합의 이행 촉구' 반영 안 돼
아베, 군 위안부 문제 해결 촉구에 무반응…형식적 면담에 그친 듯
△ 한일·일한 의원연맹 합동총회 참석차 일본을 방문한 서청원 새누리당 의원(오른쪽열 가까운 쪽에서 6번째) 등 한국 국회의원들이 10일 도쿄 총리관저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왼쪽열 가까운 쪽에서 4번째)와 면담하고 있다.(주일본 한국대사관 제공)

'조선인 강제노동' 부정 파장에 한일 의원외교도 '냉각'

공동성명에 '세계유산 등록 환영-합의 이행 촉구' 반영 안 돼

아베, 군 위안부 문제 해결 촉구에 무반응…형식적 면담에 그친 듯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이세원 특파원 = 일본 정부가 조선인 강제노동 사실을 부정하고 나선 데 대한 파장이 양국 의원 외교로까지 번지는 양상이다.

10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일의원연맹과 일한의원연맹의 합동 총회에서 양국 의회 사이에 흐르는 싸늘한 기운을 느낄 수 있었다.

일한의원연맹의 회원인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이날 오전 열린 개회식에 직접 참석하는 대신 가토 가쓰노부(加藤勝信) 관방 부(副)장관을 보내 인사말을 대신 읽게 했다.

국회 일정을 이유로 들었지만 지난달 22일 주일 한국대사관이 개최한 한일 수교 50주년 행사 때 직접 참석했던 것과는 극명한 대비를 이뤘다.

일본 측에서 불참한 의원이 많아 행사장의 빈자리도 두드러졌다.

아베 총리는 비슷한 시간대에 중의원에 출석해 조선인 강제노동 사실을 인정하지 않은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상의 발언에 대해 한국 정부가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고 말하는 등 정권 차원에서 강제동원을 반복해 부정했다.

이날 양국 의원연맹의 사회문화위원회 논의에서 한국 의원은 강제노동 사실이라는 점을 전제로 의견을 개진했고 일본 의원이 강제노동으로 인정할 수 없다고 맞서 양측이 평행선을 그었다.

새정치민주연합 강창일 의원은 총회 종료 후 기자회견에서 "학문적으로 얘기할 때 자신의 의사에 반해서 사역했다고 한다면 이것은 강제적인 것이다. 상식이 그렇다"고 견해를 밝히고서 양측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양측은 공동성명에 들어갈 내용을 두고서도 대립했다.

애초 일본 측은 자국 산업 시설이 세계유산에 등재된 것을 '환영한다'는 내용의 공동성명 초안을 제시했다.

이에 한국 의원은 '조선인 노동자의 강제 노역을 알리기로 한 양국 간의 합의 사항을 충실히 이행하기를 촉구한다'는 표현을 넣자고 주장하는 등 대립이 계속되면서 결국 관련 사항을 공동 성명에서 아예 제외했다.

아베 총리는 이날 총리 관저를 방문한 서청원 한일의원연맹 회장 등 한국 의원으로부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해 특별한 조처를 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으나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한일 정상회담 관련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으며 아베 총리는 한·중·일 3국 관계가 중요하다는 언급을 하는 데 그쳤다.

서 의원도 아베 총리에게 전할 박근혜 대통령의 메시지를 받아오지 않아 결국 형식적인 면담을 넘어서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2일 한일 수교 50주년 행사에서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상대국 대사관이 개최한 행사에 참석하고 바로 전날 외교장관 회담이 성사되는 등 양국 관계가 급진전하는 듯했으나 결국 세계유산 등록 후 강제 노동을 인정할 수 없다는 일본 정부의 공개 발언으로 또다시 급속히 얼어붙는 형국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