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외무성 '강제노동 아니다' 주장 재외공관 통해 홍보(종합)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7-10 16:57:11
  • -
  • +
  • 인쇄
각국 주재 대사관이 홍보예정…집권당은 외무성 협상결과 비판·압박
△ 강제동원 외면한 군함도 팸플릿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탄광을 비롯한 조선인 강제 동원 시설의 세계문화 유산 등재가 5일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나가사키(長崎)시 등 이들 시설이 있는 일본의 지방자치단체가 각 시설에 대해 어떤 정보를 방문객에게 공급할지가 주목된다. 사진은 일본 나가사키(長崎)가 제작한 군함도 팸플릿으로 유람선을 타고 군함도에 가는 방문자에게 제공된다. 이 팸플릿에는 조선인 노동자의 존재가 기술돼 있지 않다. 2015.7.5 sewonlee@yna.co.kr (끝)

日외무성 '강제노동 아니다' 주장 재외공관 통해 홍보(종합)

각국 주재 대사관이 홍보예정…집권당은 외무성 협상결과 비판·압박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일본 외무성은 식민지 시기 한반도 출신 징용 노동자가 '강제노동을 한 것은 아니다'는 주장을 재외공관을 통해 홍보할 방침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 일본 언론이 10일 보도했다.

외무성은 세계 각국의 일본 대사관과 총영사관 등을 통해 '전시(戰時) 징용 정책은 국제법상 위법성을 수반하는 강제노동이 아니었다'는 입장을 홍보할 방침을 9일 결정했다.

한 외무성 간부는 민영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대외 홍보를 강화하는 이유에 대해 "늦었다고 반성하고 있다"며 "일본 정부가 침묵하면 더 오해가 확산하는 만큼 전 세계에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군위안부 강제연행을 부정하는 일본 정부의 대외 홍보 전략이 국제사회의 관심과 비판을 고조시키면서 세계 역사학자의 집단 성명 등으로 연결됐던 것처럼 '강제노동 부정'도 역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없지 않아 보인다.

일제의 조선인 강제 징용에 대해서는 국제노동기구(ILO)의 전문가위원회도 보고서를 통해 강제 노동을 규제하는 협약을 위반한 것으로 규정한 바 있다.

지난 5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결정된 일본 23개 산업시설 중에는 나가사키(長崎) 조선소, 하시마(端島·일명 '군함도') 탄광 등 조선인 수만 명이 강제노동한 현장 7곳이 포함됐다.

등재 추진 과정에서 조선인 강제노동 사실을 어떻게 반영할지를 놓고 한일 정부는 우여곡절 끝에 '의사에 반해 끌려가 노동을 강요당했다(forced to work)'는 표현으로 타협점을 찾았다. 하지만 이후 일본 정부는 강제노동을 인정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집권 자민당은 협상에 문제가 있었다는 인식 아래 외무성을 비판하고, 대외 홍보 강화를 재촉했다.

자민당 국제정보검토위원회 등에 소속된 의원들은 10일 당내 회의에서 외무성이 '노동을 강요당했다'고 밝힌데 대해 "오해를 불러 일으킬만한 내용"이라며 불만을 표출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일부 회의 참석자는 강제노동을 인정한 것으로 해외 언론에 보도된 사실을 거론하며 정부의 대외 홍보에 실수가 있었다고 비판했고, "(한국 측과 타협해가면서까지) 세계유산에 등록할 의미가 있는가"라는 견해도 나왔다고 교도는 전했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또 '조선인 징용이 ILO가 금지하는 강제노동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일본의 주장을 대외적으로 널리 홍보하도록 정부에 요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한다는 방침도 확인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