텅빈 인천경제청 수뇌부…청·차장 이어 본부장 줄사퇴
최대 위기…"업무공백 초래 인천시 인사시스템 허점"
(인천=연합뉴스) 신민재 기자 = '대한민국 1호' 경제자유구역인 인천경제자유구역의 개발과 투자유치를 총괄하는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수장 공백 장기화로 개청 이래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6일 인천시 산하 인천경제청에 따르면 인천경제청장직은 이종철 전 청장이 작년 10월 뇌물수수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고서 사의를 표명한 뒤 8개월 넘게 공석이다.
인천시는 이 전 청장이 기소돼 법정에 서자 지난 5월 징계위원회를 열어 해임을 최종 결정했다.
인천시는 이어 지난달 새 청장을 공모해 응모자 7명 가운데 산업통산자원부에 추천한 인사를 1순위로 추천했으나 해당 후보자가 포스코 비리 의혹 수사 과정에서 돌연 검찰에 구속됐다.
인사 검증시스템에 허점을 드러낸 인천시는 부랴부랴 경제청장 재공모에 나서 오는 10일까지 원서를 접수하고 15일 면접시험을 치르기로 했다.
시가 관계 부처와 협의해 임명하는 인천경제청장은 개방형 지방관리관(1급)으로 경제자유구역 투자유치와 개발계획 전략 수립, 경제청 운영사무의 총괄·조정 등의 업무를 한다.
인천경제청장 인선이 늦어지는 가운데 올해 말로 정년퇴직하는 조동암 인천경제청 차장(2급)도 이달 15일자로 공로연수에 들어갈 예정이어서 인천경제청은 새 청장이 임명될 때까지 최소 2주 이상 청·차장 자리가 동시에 비는 초유의 사태를 맞게 됐다.
현재 4개 본부 체제로 운영 중인 인천경제청은 업무를 부적정하게 처리했다는 이유로 징계대상에 올랐던 투자유치본부장(3급)이 지난달 초 사의를 밝힌 뒤 휴가를 내고 장기간 출근하지 않고 있다.
또 내년 상반기 정년을 맞는 송도사업본부장(3급)도 오는 15일자로 공로연수를 시작할 예정이어서 이들이 한꺼번에 자리를 비우는데 따른 업무 차질과 후유증이 상당 기간 지속할 것으로 우려된다.
인천경제청은 2003년 대한민국 최초의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송도·청라·영종지구 개발과 투자 유치를 총괄하고 있어 국내 다른 7개 경제자유구역의 '롤 모델' 역할을 해왔다.
정부는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이런 중요성을 고려해 2006년 특별자치단체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인천시의 반발에 부딪혀 무산됐다.
시민단체들은 '대한민국 성장동력'을 자임하는 인천경제청이 수뇌부 집단 공백 사태를 맞게 된 것을 놓고 인천시의 '주먹구구식' 인사시스템을 비판하고 나섰다.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유정복 인천시장이 재정위기를 극복하는 돌파구로 투자유치를 얘기하면서 이런 사태를 초래한 것은 허술한 시 인사시스템의 문제점을 드러낸 것"이라며 "유 시장은 이른 시일 안에 경제청의 방향성을 명확히 재정립하고 인사 부분을 세밀하게 다뤄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