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세계유산협의 막판진통…"등록결정시 韓의견진술 새 쟁점"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7-02 21:08:01
  • -
  • +
  • 인쇄
교도 "'등재결정 후의 의견진술 내용 조율하자' 日요구에 韓난색"
△ 지난달 21일 도쿄에서 회담한 윤병세(왼쪽)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

한일, 세계유산협의 막판진통…"등록결정시 韓의견진술 새 쟁점"

교도 "'등재결정 후의 의견진술 내용 조율하자' 日요구에 韓난색"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사실상 합의점을 찾은 듯했던 일본 산업혁명 시설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록 관련 한일 협의가 새 쟁점의 등장으로 막판 진통을 겪고 있는 것으로 2일 알려졌다.

교도통신은 세계유산 등재 여부를 결정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일본 산업시설의 등재가 결정됐을 때 한국이 할 의견 진술이 새 쟁점으로 부상했다고 보도했다.

한국은 세계유산위원회의 위원국으로서, 등재 결정된 세계유산에 대해 의견을 밝힐 권리가 있다.

일본 측은 한국이 이 기회를 활용해 조선인 강제징용 등 역사 문제를 거론하면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고 보고 의견 진술 내용을 사전에 조율할 것을 요구하지만 한국은 난색을 표하고 있다고 교도는 전했다.

이 문제에서 타협점을 찾기 위해 일본은 스기야마 신스케(杉山晋輔) 외무심의관(차관보급)을 지난달 30일 서울에 파견, 2일까지 조태열 외교부 제2차관 등 당국자들과 협의토록 했다.

만약 양측이 합의점 도출에 실패한 채 오는 4일 이뤄질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독일 본)에서 표결까지 가게 되면 양국 관계에 중대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일본은 표결까지 가는 상황을 대비하는 듯한 움직임을 보였다.

이번 세계유산 등록 추진을 주도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2일 세계유산위원회 의장국인 독일의 연방 상원의장과 총리 관저에서 만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협력해줄 것을 요청했다.

또 같은 날,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록을 위해 도시경제 평론가인 가토 고코(加藤康子) 씨를 내각 관방 참여(총리 자문역)에 임명했다고 밝혔다.

한국과 일본은 지난달 21일 외교장관 회담을 계기로 일본 산업시설에서 이뤄진 조선인 강제노동 사실을 세계유산 등재문 주석에 명기하는 방안에 대략적으로 합의를 도출했다.

지난달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일본 규슈(九州) 지역을 중심으로 한 8개 현에 걸친 총 23개 산업 시설의 세계 문화유산 등재를 유네스코에 권고했다. 일본 정부가 추천한 이들 23개 시설에는 나가사키(長崎) 조선소, 하시마(端島·일명 '군함도') 탄광 등 조선인 수만 명이 강제노동한 현장 7곳이 포함됨에 따라 한국 정부는 등재 추진 과정에서 강제징용 역사를 반영할 것을 일본에 요구해왔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