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도쿄 AP=연합뉴스) 지난달 30일 승객 분신 사건이 발생한 신칸센(新幹線·고속열차) 객차 안에 한 승객(왼쪽)이 쭈그리고 앉아 있는 모습. |
日신칸센 대형참사 면했음에도 '안전대책 강화론' 대두
정부, 철도회사에 대책 지시…신문들, 사설로 연기배출·순찰 강화 촉구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2명이 숨지고 26명이 부상한 지난달 30일 일본 도카이도(東海道) 신칸센(新幹線·고속열차) 분신 사건 이후 일본 사회에서는 열차 안전대책을 더욱 강화하라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2003년 한국의 대구지하철 방화 사건을 계기로 화재 대비 태세를 강화한 점, 기관사와 승객들의 침착한 대응 등에 힘입어 불이 타 차량으로 번지는 것을 막았고, 결과적으로 대형 참사를 피했다는 게 이번 사건에 대한 일본 사회의 대체적인 평가다.
그럼에도, 일본 정부는 재발 방지를 위한 기민한 대응에 나섰고, 언론은 안전 태세를 더욱 강화할 것을 촉구했다. 원래 일본 사회가 안전 문제에 극도로 민감한 측면도 있지만 2020년 도쿄 올림픽에 대비한 대중교통 안전 대책 강화에 이번 사건의 교훈을 활용하려 하는 분위기다.
교도통신에 의하면, 국토교통성은 1일 국유철도의 후신인 JR 계열 5개사 간부를 불러 개최한 회의에서 열차 내 가연성 물질 반입 규정 재검토, 열차 내 순찰 강화 등을 지시했다. 회의에서는 열차 내 연기배출 설비 및 대피 경로 확보 방안, 열차 보안 대책 강화 방안 등이 논의됐다.
주요 신문들도 사설을 통해 안전 대책 강화를 촉구했다.
마이니치 신문 2일자 사설은 사망자 1명이 질식사한 사실에 주목, "연기배출 대책은 지하철 화재 등에서도 가장 중요하다"며 "연기배출 대책 강화의 필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감시 카메라로 수상한 사람을 점검하거나 차장 등에 의한 순찰을 더욱 강화하는 것이 우선은 현실적"이라면서도 "미국의 고속철도는 수하물의 불시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며 "모든 대책을 검토 대상에서 배제하지 말고 만약에 대비한 노력을 해달라"고 주문했다.
아사히 신문은 "(이번 사고에서) 신칸센 승무원은 승객이 누른 매우 비상벨 소리를 듣고 비상사태 발생 사실을 알게 됐다"며 "방화시 인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연기 감지기의 설치 및 배기 설비 강화 등 하드웨어 측면에서의 개선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요미우리 신문 사설은 "JR과 경찰이 협력을 강화하고 플랫폼 및 차내 순찰의 빈도를 높여야 한다"고 지적하고, 열차 내 범죄 억제를 위한 감시 카메라를 증설을 제언했다.
지난달 30일 도쿄발 오사카행 도카이도(東海道) 신칸센 '노조미 225호'에 탄 71세의 남성 승객이 1호차에서 기름을 주위에 뿌리고 자신의 몸에 부은 뒤 라이터로 불을 붙였다. 이 화재로 불을 지른 남성과, 그와 관계가 없는 52세 여성 1명이 숨졌고, 승객 26명이 화상, 일산화탄소 중독 등으로 중·경상을 당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