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서 대규모 민주화 행진…북한인권 개선 목소리도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7-01 19:53:27
  • -
  • +
  • 인쇄
홍콩 주권반환 18주년 맞아 7·1 대행진 열려
△ (홍콩=연합뉴스) 최현석 특파원 = 홍콩의 주권이 영국에서 중국으로 반환된지 18주년인 1일 홍콩 시민들이 민주주의 확대를 요구하는 '7·1대행진' 행사를 벌였다.

홍콩서 대규모 민주화 행진…북한인권 개선 목소리도

홍콩 주권반환 18주년 맞아 7·1 대행진 열려



(홍콩=연합뉴스) 최현석 특파원 = "이제부터가 진짜 민주주의를 위한 투쟁의 시작이라고 생각해요"

홍콩의 주권이 영국에서 중국으로 반환된 지 18주년인 1일(현지시간) 오후 홍콩섬에서 벌어진 '7·1대행진'(七一大遊行)에 참여한 호모(29·여) 씨는 지난달 18일 홍콩 입법회(국회격)가 직선제 방안을 담은 2017년 행정장관(행정수반) 선거안이 부결됐지만, 행정장관 직선제에 대한 희망을 버리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호 씨는 "중국의 강력한 통제가 전제된 선거안을 부결시킨 것은 가짜 민주주의를 끝낸 것"이라며 "진정한 보통선거가 도입될 때까지 시위와 행진에 참여하겠다"고 말했다.

호 씨를 포함해 홍콩 시민 수만 명은 이날 35℃에 달한 무더위에도 코즈웨이베이(銅라<金+羅>灣) 빅토리아 공원에서 애드미럴티(金鐘) 정부청사 부근까지 3㎞ 거리를 행진하면서 "진정한 보통선거를 원한다", "렁춘잉(梁振英) 행정장관 퇴진" 등 구호를 외쳤다.

거리에는 예년보다 영국령 홍콩 깃발이 많이 보여 홍콩인의 중국 당국에 대한 불신감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홍콩중문대 홍콩·아시아태평양연구소가 지난달 21일부터 나흘간 홍콩인 약 1천 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한 결과, 중국 중앙정부에 대한 인상이 나빠졌다고 답한 응답자 비율이 36.2%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1997년 주권반환 이후 매년 7·1대행진을 주최한 시민단체 민간인권진선(民間人權陣線·민진)은 이날 행진에 10만 명이 참가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실제 참가자 수는 예상치에 못 미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올해는 행정장관 선거안 등 주요 이슈가 사라져 참가자 수가 사상 최대였던 작년의 51만 명(경찰 추산 9만8천600명)보다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대학생 응모(21) 씨는 "홍콩의 젊은이들이 단순한 거리 행진과 시위 대신에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항의 방식을 요구하고 있지만, 주최 측은 여전히 예전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며 시위 방식 개선을 주문했다.







이날 코즈웨이베이와 애드미럴티 중간에 있는 완차이(灣仔)의 도로변에서는 일부 홍콩 시민들이 북한의 인권 개선을 요구하는 전단을 행진 참가자들에게 배포해 눈길을 끌었다.

도로변에 부스를 설치한 홍콩 시민단체 탈북자관주조(脫北者關注組)는 전단을 배포하면서 북한 인권 개선과 중국의 탈북자 북송 중단, 홍콩의 북한화 반대 등 구호를 외쳤다.

탈북자관주조의 오언 로 공동설립자는 "북한도 1인 1표제를 시행하고 있지만 진정한 민주주의가 아닌 것처럼 홍콩에도 가짜 민주주의가 도입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주고 싶었다"고 부스 설치 이유를 설명했다.

로 설립자는 "중국에 반환된 지 18년이 지나면서 홍콩이 점차 북한이나 중국과 비슷해지는 느낌"이라며 "앞으로 홍콩 시민에게 탈북자들의 목소리를 더 많이 들려줄 예정"이라고 말했다.

친(親)중국파 시민단체들도 도로변에 부스를 설치했다가 반(反)중국파와 충돌할 조짐을 보이자 경찰이 이들을 분리시키기도 했다. 경찰은 충돌에 대비해 현장에 3천여 명의 경찰관을 배치했다.

이날 홍콩에서는 거리행진 외에 완차이 골든바우히니아(金紫荊) 광장에서의 국기 게양식 등 다양한 홍콩 반환 18주년 기념행사가 열렸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