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대책 추적관리에 그쳐…환경보건학적 관점 부족"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6-30 17:01:31
  • -
  • +
  • 인쇄
서울대서 메르스 사태 집담회…초기대응·의사소통 미숙 지적도

"메르스 대책 추적관리에 그쳐…환경보건학적 관점 부족"

서울대서 메르스 사태 집담회…초기대응·의사소통 미숙 지적도



(서울=연합뉴스) 채새롬 기자 =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에 대한 정부의 대책이 추적관리 위주로 이뤄져 발생 병원 환경의 특징 등 환경보건학적 측면은 고려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서울대 보건대학원이 30일 대학원에서 '한국의 메르스 사태와 공중보건'을 주제로 연 집담회에서 환경보건학과 윤충식 교수는 "정부의 메르스 대책은 확진자의 동선이나 접촉자를 파악하는 등 주로 추적관리 위주로 이뤄졌다"며 환경보건학적 전파 경로 파악에 미흡했다고 밝혔다.

발생 병원 환경의 특징, 비말 감염인지 공기중 감염인지, 온습도의 영향, 응급실 공조 또는 자연환기 중 무엇이 효과적인가 등 환경보건학적 전파 경로 파악에 소홀했다는 것이다.

고광표 환경보건학과 교수는 "메르스가 낮은 습도에서 48시간 이상 생존한다거나 유전정보와 감염성, 독성 등 연관성은 추가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예방을 위해 비말감염, 공기감염, 접촉 등 다양한 바이러스 전파 경로의 차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윤 교수는 또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의학적 접근과 더불어 다양한 환경보건학적 조치들을 실행하고 감염경로, 환경조건 등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것에 대해 동시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의 초기 대응과 의사소통의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창엽 보건학과 교수는 "정부가 메르스 사태를 병원감염 대 지역사회 감염이라는 프레임을 짜놓고 이분법적으로 봐 환경요인에 대해 소홀했다"고 지적했다.

병원이라는 특수한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감염을 병원감염으로 축소해 인구집단에 대한 접근을 의식적으로 줄였다는 주장이다.

김 교수는 "중요성과 심각성에 대해 오판하고 전파가능성 등 기존 지식의 불확실성을 배제해 언제면 끝난다 언제면 종식된다 이런 확정적인 메시지와 의사소통을 벌였고 이는 실패한 의사소통"이라고 주장했다.

제도적 개선을 촉구하는 자성의 목소리도 이어졌다.

메르스역학조사위원회 위원인 조성일 보건학과 교수는 "정부가 애를 썼음에도 불구하고 더 좋은 결과를 낼 수 없었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며 "역학조사를 강화하고 정보수집을 위한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패널 토론으로는 세계보건기구(WHO) 메르스 합동평가단 공동단장 이종구 의대 교수, 장덕진 사회학과 교수, 김성균 환경보건학과 교수 등이 참여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