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우주 핵심기술 개발사업' 신규과제 16건 선정
올 한 해 57억원 지원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 미래창조과학부는 2015년도 '우주 핵심기술 개발사업' 신규 과제로 '초저가형 정밀 위성항법시스템(GNSS) 측위체계 개발' 등 16개 과제를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3월 '우주기초' 분야에서 16개 자유공모 과제를 선정한 데 이어 우주 핵심기술 개발사업 4개 부문(우주기초, 우주핵심기술, 우주기술 융·복합, 우주교육시스템)에서 16개 과제를 뽑은 것이다.
우주 핵심기술 개발사업은 독자적 우주개발 능력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우주 핵심기술의 자립화를 겨냥한 사업이다.
올해 우주기초연구 부문에서는 지정과제로 국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국제협력 과제, 우주 핵심기술의 기반을 마련하는 연계과제 등을 신설해 연구 결과의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
우주 핵심기술 부문에선 위성·발사체에 적용되는 우주 핵심부품의 국산화를 위해 '저궤도 위성용 GPS/갈릴레오 복합수신기 인증모델 개발' 등 실용화 가능성이 큰 과제 4개가 선정됐다.
우주기술 융·복합 부문에선 우주기술을 타 산업 분야와 융합해 제품화·산업화에 성공할 가능성이 큰 '스핀오프'(파생) 분야에서 '초저가형 정밀 GNSS 측위체계 개발' 등 3개 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 융·복합 부문에 신설된 '골든 솔루션' 분야에서는 '위성영상을 이용한 내륙 담수 조류오염도 농도 분석 시스템 개발' 등의 과제를 지원하기로 했다. 골든 솔루션은 위성 정보를 기반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분야다.
역시 신설된 '우주교육시스템 구축' 부문에서는 산업체 인력의 재교육과 우주 분야 대학원 인력 양성 과제를 지원해 산업체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주기로 했다.
이들 16개 과제에는 올 한 해 모두 57억원이 지원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