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기업문화와 승진·승급·해고관련 비공식 문화간 불일치 땐 혼돈"
![]() |
△ 남태희 사장. 출처:스톰벤처스 홈페이지 |
NYT 소개 남태희사장 "CEO는 모세인 동시에 갈릴레오가 돼야"
"신념으로 이끌되 결정 때는 곤란한 문제도 회피하지 않고 진실 추구해야"
"공식 기업문화와 승진·승급·해고관련 비공식 문화간 불일치 땐 혼돈"
(서울=연합뉴스) 윤동영 기자 = "최고경영자(CEO)는 무리를 `약속의 땅'으로 이끈 모세의 신념과 열정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때로는 신념과 진실이 서로 다르므로, 동시에 갈릴레오 같이 진실을 찾는 회의론자가 돼야 한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벤처캐피털사인 '스톰 벤처스'를 창업해 한국의 신생 벤처기업들의 설립과 투자에도 참여하고 있는 남태희(55) 사장이 29일 뉴욕타임스와 인터뷰에서 본래 기업 전문변호사에서 벤처캐피털 최고경영자로 변신한 후 배운 게 무엇이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뉴욕타임스는 매주 경제면 고정란인 '코너 오피스(최고위 임원급 방을 의미)'를 통해 최고경영자들의 기업 경영 경험담을 소개하고 있다.
그는 한국에서 태어나 5세 때 가족과 함께 미국에 이민 갔으면서도 영문 이름을 `Tae Hea Nahm'이라고 한국 이름 대로 사용한다.
그는 "최고경영자는 성공의 길을 간단명료하게 제시해야 한다. 그러나 그 모든 것을 다 믿는다면 회사를 낭떠러지로 끌고 가게 될 것"이라며 "최고경영자가 되기 위해선 신념과 열정이 필요하지만, 최고경영자로서 결정할 때는 진실과 신념이 다를 때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고 모세와 갈릴레오의 자질을 겸비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동안 수많은 기업가들과 함께 일해본 경험으로 최고 기업가의 남다른 자질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엔 서슴없이 "열정"이라고 꼽았다.
'열정'에 대해 그는 최고의 판매원 같은 것을 뜻하는 게 아니라면서 "정말 수줍음이 많고 내성적인 사람이 판매 능력은 형편없을지라도 독특한 아이디어를 집념을 갖고 파고들면 무에서 위대한 것을 창조해낼 수 있다"고 "집중된 노력"을 강조했다.
그는 많은 기업을 접해본 결과 기업문화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기업문화는 이러니저러니 말이 많아도 모두 누가 승진하고 승급하고 해고되느냐와 연관돼 있다"며 "우리 회사 문화는 이렇다고 말하더라도, 실제 문화는 보상, 승진, 해고에 의해 만들어진다"고 설명했다.
그는 "조직에서 성공하는 사람이 그 조직 가치의 역할 모델이 되며, 그것이 조직의 문화를 규정한다"고 거듭 강조하고 "최고경영자가 우리 회사 문화는 이렇다고 선언할 때 그 공식 선언이 승진·승급·해고에 기반을 둔 이런 비공식 문화와 일치하면 최선의 문화가 형성되겠지만, 일치하지 않을 땐 혼돈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하버드대 학부에서 응용수학을 전공하고 시카고대 로스쿨을 나와 실리콘밸리 전문 법률회사에서 일하면서 신생 기술벤처사 수백 개를 접한 경험을 토대로 벤처캐피털사를 세웠다.
그는 응용수학 전공자로서 컴퓨터프로그램을 만들고 경영대학원을 가고 싶었지만, 아버지와 형으로부터 자신들과 같은 의사나 의대교수의 길을 걸으라는 압박을 받은 끝에 '타협책'으로 로스쿨에 진학하게 됐다고 회고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