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즈 "남중국해 통행 등 국제규범 보호에 한국 이해 커져"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6-28 06:00:05
  • -
  • +
  • 인쇄
국무부 부장관 출신 카네기연구원장 "한미, 조율된 리더십 필요"
"박대통령 방미때 양자보다 지역·글로벌 차원 파트너십 강화 논의해야"


번즈 "남중국해 통행 등 국제규범 보호에 한국 이해 커져"

국무부 부장관 출신 카네기연구원장 "한미, 조율된 리더십 필요"

"박대통령 방미때 양자보다 지역·글로벌 차원 파트너십 강화 논의해야"



(워싱턴=연합뉴스) 노효동 장재순 특파원 = 미국의 유력 싱크탱크인 카네기국제평화연구원의 윌리엄 번즈 원장은 27일(이하 현지시간) 남중국해 문제와 관련해 "항행의 자유를 지키고 국제 공통의 규범을 보호하는 데서 한국의 이해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국무부 부장관을 지낸 번즈 원장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은 남중국해이든, 사이버문제이든 공통의 질서를 만들어나가는데 이해를 갖고 있음을 분명히 해왔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의 이같은 언급은 얼마전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과 관련해 "한국이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고 촉구한 대니얼 러셀 미국 국무부 동아태차관보의 발언과 비슷한 맥락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번즈 원장은 "한국과 미국은 공통의 비전을 갖고 있고 남중국해이든, 사이버문제이든 올바른 행동을 유도하는 통행규칙((rule of the road)을 공유하고 있다"면서 "이 같은 비전을 실행에 옮기려면 한·미 양국의 조율된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어 "박근혜 대통령이 올해 방미할 경우 양자 의제보다도 지역과 글로벌 차원에서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것이 중심 의제가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중국은 남중국해에 인공섬을 건설하며 영유권 주장을 강화하고 있고 이에 미국은 국제적 해양질서 보호와 '항행의 자유'를 내세워 동맹·우방국들과 함께 중국을 압박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남중국해에서의 평화와 안정은 매우 중요한 만큼, 당사국 간의 행동선언이 완전하고 효과적으로 이행되고 중국과 아세안 간 협의 중인 남중국해 행동규칙도 조속히 체결돼야 한다는 원칙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번즈 원장은 북한 핵문제의 해법으로 대북 대화론이 제기되는 데 대해 "북한과 대화하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떤 조건으로 하느냐가 중요하다"며 "현재로서는 북한 김정은 정권이 신뢰할 수 있고 진정성 있는 협상에 나설 것이라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의 한반도 배치문제에 대해 그는 "양국 사이에 매우 사려 깊은 대화가 이뤄지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일 관계와 관련해서는 "양국이 역사의 매우 고통스러운 장(章)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인간적으로 겪은 고통을 깊이 이해하면서 동맹끼리 문제를 정리하고 더 큰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82년부터 33년간 외교관 생활을 한 번즈 원장은 주요르단 대사(1998∼2001), 근동(近東)지역 부차관보(2001∼2005), 주러시아 대사(2005∼2009), 정무차관(2008∼2011)을 거쳐 직업외교관으로서는 가장 높은 직급인 부장관 자리에 올랐다.

번즈 원장은 오는 30일 한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