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 사례 반복해선 안 돼…실제 이행돼야"
![]() |
△ 24일 네팔 카트만두 더르바르 광장에서 경찰이 경비견과 함께 순찰하고 있다.(EPA=연합뉴스) |
네팔 재건 국제회의 열려…각국 3조원대 지원 약속(종합)
인도 1조1천억원·중국 5천억원 경쟁적 지원 약속
"아이티 사례 반복해선 안 돼…실제 이행돼야"
(뉴델리=연합뉴스) 나확진 특파원 = 두 달 전 4월 25일 규모 7.8의 강진과 이후 여진으로 8천800여명이 사망한 네팔의 재건을 돕기 위한 국제회의가 25일 네팔 수도 카트만두에서 열렸다.
네팔 정부가 전체 지진 재건 비용으로 67억 달러(7조 4천300억 원)가 필요하다고 밝힌 가운데 이번 회의에 참석한 세계 60여개 국가와 국제기구 대표들은 전체 비용의 절반에 가까운 30억 달러 지원을 약속했다고 AFP 통신 등이 보도했다.
특히 네팔과 국경을 접해 영향력 확대를 노리는 인도와 중국은 경쟁적으로 거액의 지원을 약속했다.
수슈마 스와라지 인도 외교 장관은 인도가 지진 재건을 위해 10억 달러(1조 1천억 원)를 즉시 지원하겠다며 이 가운데 4분의 1은 무상 원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스와라지 장관은 인도가 통상적으로 네팔에 하는 지원을 포함하면 앞으로 5년간 20억 달러를 지원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은 30억 위안(5천370억 원)을 무상 원조 형태로 지원하겠다면서 유상원조까지 포함하면 47억 위안을 지급하는 것이라고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이 밝혔다.
일본은 2억 6천만 달러, 미국은 1억 3천만 달러 지원 의사를 각각 밝혔다.
아시아개발은행(ADB)도 6억 달러 지원을 약속했다. 앞서 세계은행은 네팔에 5억 달러 규모의 차관을 제공키로 했다.
여러 참가자는 지원금이 투명하고 제대로 사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용 세계은행 총재는 영상 메시지에서 "얼마나 많은 돈이 지원되느냐도 중요하지만, 이 자금이 어떻게 쓰이느냐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ADB 네팔 지부의 찬단 삽코타 이코노미스트는 "현재 명확한 재건 전략이 부족하다"면서 "정부가 약속된 시간에 구체적인 이행방안을 담은 신뢰성 있는 계획을 내놓을 필요가 있다"고 AFP에 말했다.
네팔 정부는 지원금이 제대로 쓰이지 않을 수 있다는 각국의 우려를 없애고자 애썼다.
수실 코이랄라 네팔 총리는 "부패는 절대 용서하지 않겠다"면서 "지원금이 예정된 수혜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모든 수단을 다 동원하겠다"고 말했다.
네팔 주재 유엔 인도주의 조정관 제이미 맥골드릭은 회의에 앞서 "네팔의 미래 발전을 위해 지원 약속만으로 그치면 안 되고 실제로 이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5년 전 아이티 대지진 때 각국의 지원 약속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면서 "아이티 사례를 네팔에서 반복해서는 안된다"고 역설했다.
아이티에서는 2010년 1월 12일 강도 7.3의 지진이 발생해 25만명이 숨지고 30만명이 다치는 역사상 최악의 참사가 벌어졌다.
당시 국제사회는 아이티 재건에 수십억 달러를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아이티의 정치 불안정과 부패 등을 이유로 이행이 지연됐다. 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수많은 이들이 임시 대피소에 머물고 있다고 AFP는 전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