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토류 개발비리 수사…광산업체 전직 대표 영장(종합)
투자금 지원 대가 뒷돈 받은 혐의…희토류 채굴은 물거품
(서울=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 이명박 정부 시절 주목받았던 희귀광물 희토류 개발사업을 둘러싼 비리 의혹에 대해 검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임관혁 부장검사)는 철광개발업체를 설립하는 과정에서 투자업체로부터 거액의 금품을 받은 혐의(배임수재)로 한전산업개발 전 사업본부장 황모(63)씨의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24일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황씨는 2010년께 강원도 양양철광 개발을 목적으로 합작법인 대한광물을 설립하면서 한전산업개발의 투자금 지원을 돕겠다는 명목으로 D사로부터 2억9천여만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다.
황씨는 대한광물 설립 직후 대표이사를 맡았다. 검찰은 황씨가 양양철광 광업권을 가지고 있던 D사의 사업참여를 도와주고 뒷돈을 챙긴 것으로 보고 있다.
대한광물은 1990년대 중반 폐광된 양양철광을 재개발하기 위해 2010년 12월 설립됐다. 한전 옛 자회사인 한전산업개발은 물론 한국광물자원공사도 지분을 투자했다.
광물자원공사는 당시 양양철광의 매장량이 970만t에 달한다고 전망했다. 희토류가 다량 매장돼 있다는 정보가 돌면서 투자업체들이 '희토류 테마주'로 묶였다. 한전산업개발 주가는 한 달 만에 365%, D사 지분을 전부 인수한 스포츠서울은 320% 뛰었다.
스포츠서울 김광래(52) 대표는 이 틈에 자사 주식을 반복적으로 사고팔아 시세차익을 챙겼다가 올 2월 구속됐다. 새정치민주연합 홍익표 의원은 작년 국정감사에서 "광물자원공사가 희소자원인 희토류에 대한 거짓정보를 흘려 특정 업체의 주가가 폭등했다"고 주장했다.
양양철광은 경제성이 예상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고 희토류도 생산하지 못하면서 재개발이 사실상 중단됐다. 대한광물은 전날부터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간 상태다.
검찰은 희토류 개발 붐을 타고 대한광물이 설립되는 과정에 광물자원공사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 시세차익을 노린 주가조작이 더 있었는지 살펴보고 있다. 김신종(65) 당시 광물자원공사 사장은 경남기업의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광산개발 비리에도 연루돼 이미 검찰 수사 선상에 올라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