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조선인 강제징용 세계유산등재문 주석에 명기 검토"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6-24 09:31:39
  • -
  • +
  • 인쇄
한일 외교장관회담·실무협의서 의견모아…'강제성' 표현 세부문구 조율중
△ 21일 도쿄에서 열린 한일외교장관회담에 앞서 악수하는 윤병세 외교장관(왼쪽)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교도.연합뉴스)

"日, 조선인 강제징용 세계유산등재문 주석에 명기 검토"

한일 외교장관회담·실무협의서 의견모아…'강제성' 표현 세부문구 조율중



(도쿄 서울=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이귀원 기자 = 일본 정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중인 자국 산업 시설에서 조선인 강제노동이 이뤄졌다는 사실을 등재문 주석에 기술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24일 알려졌다.

복수의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양국은 21일과 23일 도쿄에서 각각 열린 한일 외교장관 회담과 국장급 협의에서 이 같은 방안에 대략적인 합의를 도출, 구체적인 문안을 놓고 막바지 협의를 벌이고 있다.

한국 측에서 쓰는 '강제징용 피해자'라는 용어에 대해 일본 정부는 그간 '징용공'(徵用工)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왔기에 강제성을 어떤 식으로 표현할지를 놓고 양측간에 막판 조율이 이뤄지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양측은 한반도에서 노동자를 데려가는 과정 등과 관련해 '강제'라는 표현을 넣을지에 대해 조율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별도로, 일본 측은 각 시설의 현장 설명판, 해당 지자체의 홈페이지 설명문, 방문자용 팸플릿 등에 조선인 강제노동 사실을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일본 언론에 보도됐다.

아울러 일본 정부는 오는 29일 세계유산 등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독일 본에서 열리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 때 조선인 강제징용을 설명하는 추가 문서를 제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마이니치 신문이 24일 보도했다.

애초 자국 산업시설들의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일본은 대상 기간을 조선 강제병합이 이뤄진 1910년 이전으로 한정했다고 주장하며 한국이 문제를 제기하는 강제징용은 시기가 다르다는 입장을 내세웠다.

하지만 유네스코 자문기구가 일본 측에 해당 시설들의 '전체 역사'를 알리라고 권고하고, 한국이 세계유산위 위원국들을 상대로 강제징용 문제를 강하게 제기하자 강제징용 반영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지난달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일본 규슈(九州) 지역을 중심으로 한 8개 현에 걸친 총 23개 산업 시설의 세계 문화유산 등재를 유네스코에 권고했다. 일본 정부가 추천한 이들 23개 시설에는 나가사키(長崎) 조선소, 하시마(端島·일명 '군함도') 탄광 등 조선인 수만 명이 강제노동한 현장 7곳이 포함됐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