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여 정림사지 전경(연합뉴스 자료사진) |
백제역사유적지구 등재 세계유산위 독일서 개최
본에서 29~7.8 열려, 일본 산업유산도 등재 예정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World Heritage Committee) 올해 제39차 회의가 오는 29일부터 다음달 8일(현지시간·이하 같음)까지 독일 본 월드컨퍼런스센터(World Conference Center)에서 열린다.
이번 회의에서는 한국이 신청한 '백제역사유적지구(Baekje Historic Areas)'와 일본이 신청한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유산군: 규슈-아마구치 지역(Sites of Japan's Meiji Industrial Revolution: Kyushu-Yamaguchi and Related Areas)'에 대한 세계유산 등재심사가 이뤄질 예정이라 특히 주목된다.
이들 두 유산은 유네스코 자문기구 중 하나로 세계유산 중에서도 문화유산(Cultural Heritage) 사전 심사를 담당하는 이모코스(ICOMOS·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가 이미 '등재(Inscribe)'를 권고한 마당이라 등재가 확실시된다.
특히 백제역사유적지구는 이코모스 등재 권고안이 WHC 회의에서 거부된 적이 거의 없는 데다 이렇다 할 이견이 없어 한국의 12번째 세계유산으로 탄생할 것이 확실시된다. 이로써 백제 고도 중에서도 서울을 제외한 공주·부여·익산지역 소재 백제유산 9군데는 애초 한국이 등재 신청한 것과 같은 이름으로 세계유산 대열에 합류하게 된다.
반면 일본의 산업유산은 논란이 한창이다.
등재를 권고한 이코모스와 세계유산위원회는 우선 일본 측이 제안한 명칭을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 철강, 조선 그리고 탄광산업(the Sites of Japan's Meiji Industrial Revolution: Iron and Steel, Shipbuilding and Coal Mining, Japan)'이라는 이름으로 변경할 것을 제안했다.
이코모스 현지실사 과정과 이후 세계유산위원회 전문가 패널회의 등을 통해 수정한 명칭이 실상에 더 부합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일본이 신청한 산업혁명 유산군은 식민강점기 조선인의 강제징용 현장이었던 곳이 다수 포함됐지만, 그런 내용이 일본의 등재신청서에는 쏙 빠진 것으로 드러나 한국 측의 집중 반발을 초래한 실정이다.
실제 일본의 등재신청서를 보면 해당 유산들의 운용 시기를 1850~1910년으로 국한함으로써 그 이후 이들 유산에서 식민강점기에 전개된 '어두운 역사'를 일부러 회피하려 했다는 의심을 사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는 이에 대한 대응 논리로 일본이 등재신청한 산업유산군 대부분은 메이지시대보다 오히려 태평양전쟁기를 포함하는 식민강점기에 번영을 구가했으며, 그 속에서 강제동원과 같은 아픈 역사가 서렸으므로 이런 내용을 빼고는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수 없다고 맞섰다.
이를 위해 우리 정부는 세계유산 등재 심사에 키를 쥔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을 대상으로 '등재 보류(refer)'나 '불가(defer)'를 포함한 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둔 외교 활동을 광범위하게 벌이는 한편, 일본 정부를 상대로 한 직접 협상도 아울러 벌였다.
그런 와중에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에 즈음한 21~22일 일본 방문에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상과 만나 "협의를 통해 원만하게 타결하자는 공통인식을 갖고 이 문제를 긴밀히 협의키로 했다"고 밝혀 주목된다.
한·일 당국자와 관련 언론 보도를 종합할 때 한국은 일본 산업유산 세계유산 등재 결정문에 강제동원 사실을 명시하자는 반면, 일본 측에서는 현지 안내판이나 안내서 등지에 이런 내용을 기재하자는 자세를 보이는 것으로 관측된다.
이 두 건을 포함한 세계유산 등재심사는 다음달 3~5일 이뤄질 예정이다. 한 해에 최다 40건 등재를 심사하는 이번 회의에서는 백제역사유적지구와 일본의 산업유산을 포함한 38건에 대한 등재 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유네스코가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등재 일정에 따르면 일본의 산업유산과 우리의 백제역사유적지구는 4일 각각 13번째와 15번째로 등재 심사를 하게 된다.
나아가 이번 회의에서는 세계유산 등재의 법적인 근간인 세계유산협약의 운영지침(Operational Guidelines)도 일부 손볼 예정이며, 2014-15년도 예산 집행 사항도 보고한다.
http://blog.yonhapnews.co.kr/ts1406/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