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북한인권사무소 서울서 개소…"책임규명 기반마련"(종합2보)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6-23 18:49:32
  • -
  • +
  • 인쇄
인권상황 감시·증거보존 '현장거점'…北, 강력 반발
△ '유엔 북한인권사무소' 개소식 (서울 사진공동취재단=연합뉴스)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글로벌센터에서 열린 '유엔 북한인권사무소' 개소식에서 참석자들이 축하의 박수를 치고 있다. 왼쪽부터 로리 문거븐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 아시아 태평양 국장, 자이드 라아드 알 후세인 유엔 인권최고대표, 윤병세 외교부장관, 사인 폴슨 초대소장.

유엔 북한인권사무소 서울서 개소…"책임규명 기반마련"(종합2보)

인권상황 감시·증거보존 '현장거점'…北, 강력 반발



(서울=연합뉴스) 외교부 공동취재단 김효정 기자 = 북한의 인권 상황을 감시하는 유엔의 현장 거점이 될 '유엔 북한인권사무소'(서울 유엔인권사무소)가 23일 서울 종로구 글로벌센터에서 문을 열었다.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이날 오후 글로벌센터에서 북한인권사무소의 개소식을 열었다.

사무소는 앞으로 북한의 인권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기록해 증거를 보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북한에서 벌어지는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인권 침해의 책임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북한 인권 문제를 지속적으로 외부에 알리고, 관련국 정부나 시민사회의 관여를 많이 끌어내는 것도 사무소의 역할이다.

이날 개소식은 유엔의 인권 분야 수장인 자이드 라아드 알 후세인 유엔 인권최고대표가 공식 방한해 주최했으며 윤병세 외교부 장관도 참석해 축사했다.

자이드 최고대표는 축사에서 "수백만명이 전체주의 시스템에 갇혀 자신의 자유를 부정당하고 있다"며 "수만명은 정권에 충성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보다 더욱 더 끔찍한 운명속에서 고통받고 있다"고 북한의 인권 상황을 강력히 비판했다.

이어 "사무소는 북한의 인권 문제를 관찰하고 기록할 것으로, 이를 통해 향후 책임 소재 규명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개소로 북한 인권에 대한 유엔 인권시스템의 대응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게 됐다며 "완전한 독립성과 진실성을 바탕으로 유엔 원칙에 따라 운영될 것"이라고 밝혔다.

사무소는 공식 홈페이지(seoul.ohchr.org)도 개설했으며, 이날 개소식 이후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사무소의 각종 활동은 5명가량의 직원이 수행하게 되며, 덴마크 출신의 시네 폴슨씨가 초대 소장을 맡았다.

유엔 직제상 P-5급(선임과장급)에 해당하는 폴슨 소장은 오는 8월 초 부임할 것으로 알려졌다.

사무소는 유엔을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가 지난해부터 북한인권 문제를 본격적으로 공론화한 과정에서 나온 결실이다.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는 1년간의 조사를 토대로 지난해 2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북한에서 반(反)인도 범죄가 자행되고 있다고 결론짓고, 책임 추궁 등의 후속 조치를 위한 조직 설치를 제안했다.

이어 유엔 인권이사회는 COI 권고를 반영한 결의안을 채택, OHCHR에 북한인권 상황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기록할 '현장 기반 조직'을 설치하도록 요청했다.

유엔은 스위스 제네바와 태국 방콕 등도 후보지로 검토했으나, 효과적 모니터링등을 위해서는 한국이 가장 적합하다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정부와 유엔은 이후 사무소 설치 장소와 법적 근거 마련 등 개소를 위한 사항을 협의해 왔으며 지난달 각서 교환을 통해 1차적인 법적 준비를 마무리했다.

사무소 개소는 북한 인권문제의 '책임성'을 담보할 조직을 한국 내에 설치한다는 의미가 있지만, 이미 북한의 격렬한 반발이 나타나고 있어 남북관계에는 악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지난 19일 '유엔 북한인권사무소를 서울에 개설했기 때문에 정치적인 이유로 갈 수 없다'면서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에 불참을 통보하기도 했다.

국제사회의 북한 인권문제 조명은 북핵 문제 등과는 직접 관련이 없다.

그러나 북한이 이를 최고 존엄을 겨냥한 것으로 보고 민감하게 반응하는 만큼, 장기적으로 북한 정권의 태도를 견인하는 데 영향을 미칠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