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해동 부산시의회 의장 |
이해동 부산시의장 "내년 의원 전문보조원 12명 배치"
"광역의원 일할 수 있도록 의정비도 현실화해야"
(부산=연합뉴스) 박창수 기자 = 이해동 부산시의회 의장은 "지방자치가 성숙한 만큼 이제는 광역의원들이 제대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 의장은 22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광역의원 보좌관제와 의정비 현실화 등을 이제는 검토할 때가 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광역의원 보좌관제와 관련한 법안이 지난 4월 국회 상임위원회를 통과했지만 결국 무산됐다"며 "10조원이 넘는 예산을 다루는 부산시의회만 하더라도 이를 제대로 검증할 인력이 터무니 없이 모자란다"고 주장했다.
국회가 지방의회를 견제할 게 아니라 지방정부의 살림을 제대로 감시하고 지역발전 방안을 고민하려면 광역의원을 돕는 보좌관이 1명 정도는 있어야 한다는 게 이 의장 의견이다.
광역의원 보좌관제는 무산됐지만 부산시의회는 내달 12명의 시간제 전문보조원을 채용하기로 했다.
이 의장은 "내년부터 이들을 각 상임위원회에 배치해 의원을 도와 시정을 감시하는 역할을 맡길 예정"이라고 말했다.
의정비 현실화에 대한 견해도 내놓았다.
그는 "의회가 다양한 직군과 계층의 목소리를 대변하려면 다양한 경력을 지닌 사람들이 지방의회에 진출해야 한다"며 "그렇게 하려면 제대로 된 직업 정치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06년에 지방의원 유급제가 시행됐지만 부산시의회는 2009년 이후 의정비를 전혀 올리지 않았다.
이 의장은 "지난해 의정비심의위원회에서 월 5만원가량 인상하기로 했지만 비난 여론을 고려해 차라리 동결했다"며 "'돈 없는 사람'도 의회에 진출할 수 있도록 물가상승률이나 공무원 보수 인상률과 연동해 의정비를 현실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의회 직원이 행정부의 눈치를 보지 않도록 사무처 직원에 대한 인사권을 의회에 주거나 아예 의회직을 신설하는 것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의장은 "의회의 독립성이 강화되면 그만큼 집행부에 대한 견제와 감시 역할에 충실할 수 있고 이는 곧 지역 주민의 이익에도 부합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