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 = 21일 이석문 제주교육감이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취임 1년을 맞은 소감을 밝히고 있다. 2015.6.21 bjc@yna.co.kr |
이석문 제주교육감 "작은학교 통폐합보단 활성화해야"
"작은학교서 국제학교 수준 교육과정 운영, 잠재력 키우겠다"
(제주=연합뉴스) 전지혜 기자 = 이석문 제주교육감은 21일 정부의 소규모학교 통폐합 추진 계획에 대해 "제주는 통폐합이 아니라 작은 학교를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육감은 연합뉴스와의 취임 1주년 인터뷰에서 "학교가 살아야 지역이 산다는 책무를 갖고 작은학교가 지역과 교육의 희망이 될 수 있도록 정책·행정적 역량을 기울이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교육감은 "매년 500여명 이상의 초등학생이 다른 지역에서 제주로 온다. 전국에서 읍·면 지역 초등학생이 늘어나는 곳은 제주밖에 없다"며 "학급당 학생 수가 선진국 수준인 작은학교에서 국제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을 운영해 아이들의 꿈과 잠재력을 키우겠다"고 강조했다.
현재 재학생이 6학년 1명뿐이라 내년에는 문 닫을 처지에 놓인 국토 최남단 가파초등학교 마라분교에 대해서는 "옛 관사 건물을 리모델링해 임대주택으로 제공하거나 자녀가 있는 교직원을 배정하는 등 어떻게든 학교가 문을 닫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지역 주민들이 요구하는 마라도 유치원 설립에 대해서는 "장기 과제로 두고 지속적으로 논의하겠다"며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누리과정(만 3∼5세 무상보육) 예산 부담에 대해서는 막막하다고 토로하며 "박근혜 정부의 공약사항이기 때문에 국가가 책임지거나 아니면 어린이집에 대한 지도감독권이 있는 지방자치단체가 책임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주요 공약인 고교체제 개편에 대해서는 "올해 안에 개편안을 만들어 2017년부터 점진적으로 시행하겠다"며 "각 학교 구성원과 협의 및 합의를 통해 도민이 염원하는 고입문제를 풀어가겠다"고 답했다.
이 교육감은 "고교체제 개편에서 중요한 부분이 읍·면 고등학교 활성화 및 특성화고 역량 강화"라며 "아이들이 자존감을 갖고 선택하는 특성화고를 만들어 꿈과 잠재력을 키워주고 과도한 고입 경쟁 문화를 바꿔가겠다"고 역설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