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7차 한중일 외교장관회의를 마친 윤병세 외교부 장관(왼쪽),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이 2015년 3월 21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공동기자회견을 마친 뒤 기자회견장을 나서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 연합뉴스 자료사진) |
日언론 "韓외교장관 4년만에 방일…관계개선 여전히 험난"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윤병세 한국 외교부 장관이 취임 후 처음으로 일본을 방문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 일본 언론은 한일 관계 개선이 여전히 어려워 보인다고 내다봤다.
일본 주요 신문과 방송은 윤 장관이 2011년 5월 김성환 당시 외교통상부 장관에 이어 한국 외교장관으로서는 21일 4년여 만에 일본에 온다는 점에 주목하면서도 한일 관계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현안의 벽을 넘을 수 있을지는 회의적으로 전망했다.
아사히(朝日)신문은 박근혜 대통령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 협의에서 상당한 진전이 있고 협상이 최종단계라고 했음에도 외무성 측은 진전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히는 등 21일 예정된 윤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상의 회담 등이 한일 정상회담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적다고 18일 평가했다.
이 신문은 윤 장관의 일본 방문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두 차례나 정상회담을 하고 미·일 동맹 강화가 부각하면서 한국이 고립될 수 있다는 지적에 따라 역사 문제는 엄격히 대응하고 경제·안보 분야는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이른바 '투 트랙 외교'의 일환이라고 분석했다.
요미우리(讀賣)신문은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이 전날 회견에서 위안부 문제에 관한 일본의 생각이 전과 다름없다고 한 것을 거론하며 '일본이 법적 해결이 끝났다는 뜻을 유지하고 있어 타개 전망이 서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NHK는 이번 회담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역사 인식 문제가 초점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일본 정부가 입장 변화가 없다고 하고 있어 얼마나 진전을 이룰지 불투명하다고 밝혔다.
또 윤 장관이 세계유산위원회 의장국인 독일을 방문해 조선인 징용 현장의 세계유산 등록에 문제를 제기한 것에 관해 기시다 외무상은 학술적인 권고에 대해 정치적 판단을 들여 와서는 안 된다며 회담에서 이해를 요구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