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030년까지 공원서비스 소외지역 없앤다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6-18 09:00:13
  • -
  • +
  • 인쇄
2030 공원녹지 기본계획 추진…중앙보훈병원은 증설


서울시, 2030년까지 공원서비스 소외지역 없앤다

2030 공원녹지 기본계획 추진…중앙보훈병원은 증설



(서울=연합뉴스) 황희경 기자 = 서울시가 2030년까지 서울의 녹지점유비율(녹피율)을 25%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공원 소외지역을 없애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는 17일 열린 도시계획위원회에서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안이 통과됐다고 18일 밝혔다.

기본계획안은 '더불어 사는 숲의 도시, 서울'을 미래상으로 제시하고 공원 소외지역 해소와 걷기 좋은 녹지 조성 등을 추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시는 2014년 현재 23.78%인 녹피율(綠被率·일정한 토지를 덮고 있는 수림지, 농지, 초지, 공원녹지 등의 녹지 점유비율)을 2030년에는 25%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시가화지역의 공원율은 15.93%(2014년 기준)에서 2030년 23.68%로 높일 계획이다.

1인당 공원면적은 2014년 기준 16.37㎡에서 2030년에는 18.60㎡로, 2014년 현재 4.69%인 공원서비스 소외지역은 2030년에는 0%로 줄이는 목표도 제시했다.

기본계획안에는 산사태 피해저감 시스템 구축 계획도 포함됐다.

시는 기본계획을 8월 중 최종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도시계획위원회는 또 강동구 둔촌동에 있는 중앙보훈병원 증설을 위해 2016년 수도권(서울시)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관리계획 변경안을 조건부 가결했다.

중앙보훈병원 증설은 국가유공자 고령화에 따라 보훈의료대상자 특성에 맞는 의학적·정책적 연구수행을 하기 위한 것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이밖에 위원회는 마포구 공덕동 105-84번지 일대 공덕 제1주택재건축 정비구역 변경안을 통과시켰다.

정비계획에 따르면 이 지역에는 용적률 220.53% 이하, 건폐율 25% 이하를 각각 적용받는 20층 이하 규모 공동주택 11개동 1천101가구가 건설될 예정이다.

낡은 저층주택이 밀집한 성북구 정릉동 716번지 일대 삼덕마을과 동작구 상도동 259번지 일대는 주거환경관리사업 정비구역으로 지정됐다.

이들 지역에는 폐쇄회로(CC)TV 및 보안등 개선, 공동이용시설 조성 사업 등이 이뤄진다.

시는 가구당 최대 9천만원 범위에서 저리 융자를 지원해 노후주택 개량을 도울 계획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