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구 메르스 환자 경북대병원 이송 (대구=연합뉴스) 대구 첫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 환자인 공무원 A(52)씨가 집중치료를 받기 위해 17일 오후 대구의료원에서 경북대병원으로 이송됐다. 2015.6.17 << 경북대병원 >> mshan@yna.co.kr |
메르스환자 방문시설 공개 논란…'공익'vs'추가 피해'
대구시 첫 확진환자 13일간 행적 발표…시 홈페이지 게재
(대구=연합뉴스) 최수호 기자 = 대구시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 수습을 위해 지역 첫 확진 환자 A씨(52)가 다녀간 시설 이름을 낱낱이 공개한 것을 두고 찬반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떠돌며 시민 불안을 조장하는 각종 허위 사실을 잠재우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으나 "공개에 따른 후폭풍을 간과한 과도한 조치다"는 반응도 나온다.
17일 대구시는 '메르스 확진환자 발생에 따른 확산 방지대책'을 발표하며 남구청 한 주민센터 공무원 A씨가 지난 3일부터 대구의료원 격리(15일) 전까지 들른 시설 이름을 공개했다.
공개한 곳은 경로당, 목욕탕, 식당, 어린이집, 노래연습장, 호텔 등이다.
시는 시민들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조만간 시 홈페이지(www.daegu.go.kr)에 이 명단을 게재할 방침이다.
앞서 지난 15일 메르스 환자가 처음으로 발생한 뒤 대구시·남구청 홈페이지 등에는 A씨 행적과 방문 시설명을 공개하라는 시민들 요구가 빗발쳤다.
한 시민은 "메르스 전염 확산을 막기 위해 일차적으로 환자 동선을 확보해 공개하는 것이 우선이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시가 "메르스 증상 발현 전에는 접촉자 사이에 감염이 있을 가능성이 극히 낮다"는 견해를 수차례 밝힌 상태에서 뒤늦게 A씨의 발병일 전 행적을 낱낱이 공개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반론도 있다.
또 행적 공개로 실명을 거론한 시설들은 영업 등에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A씨는 지난 13일부터 오한·발열 등 증세를 보였고 15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앞서 그는 지난달 27∼28일 삼성서울병원을 방문했다.
그러나 이날 시가 밝힌 명단에는 첫 발병일로부터 열흘 전인 지난 3일부터 13일간행적이 고스란히 들어있다.
시민 유모(44)씨는 "A씨가 단순히 방문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시설 이름을 그대로 공개하면 또 다른 피해가 발생할 것이다"며 "특히 이름을 공개한 식당, 어린이집 등이 겪을 후폭풍은 어마어마할 것이다"고 말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메르스 발병 후 A씨가 다녀간 시설 등에 허위 정보가 SNS 등에서 떠돌고 있는 상황이다"며 "실명 공개에 따른 당사자 불이익이 크겠지만 공익 측면을 더 고려했다"고 밝혔다.
또 "실명 공개에 따른 파장은 전적으로 (내가) 책임지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